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안녕하세요. 스케치업블로거 용이입니다.

오늘은 스케치업에서 간단한 확장기능(루비)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이미지를 깨끗한 화질로 화면에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데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스케치업으로 불러와서 활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고해상도 이미지나 텍스처파일을 스케치업에서 Import 하여 가져오게 되면 윈도우나 웹이서 보는 것과 같이 선명하고 깨끗하지 않으며 더 낮은 해상도로 화면에 표시되고 이미지 전체가 많이 흐릿하게 보이게 되는데요. 그 동안 스케치업을 많이 접해보신 분들이라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지요!! 그래서 되도록 작업 결과물은 높은사이즈 설정으로 2d Export 하여 저장하거나 렌더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렌더하여 깨끗한 실사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스케치업으로 불러온 이미지의 해상도가 원본보다 많이 낮아지기 때문에 좋은 이미지를 찾아 넣더라도 뭔가 손해보는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요.ㅠ

스케치업 사용자 중 결과물을 다시 캡쳐하여 활용하시는 분들은 더 안좋은 품질의 이미지를 얻게 되기 때문에 되도록 캡쳐프로그램을 이용하는건 좋은 사용방법이 아니시구요. 대신 사용하는 PC의 그래픽성능에 따라 불러오는 이미지품질의 일정부분은 개선할 수 있으세요.

스케치업 텍스처 선명도를 조금이나마 높이는 방법은 상단메뉴 Window - Preferences(환경설정) 에 들어가면 좌측 항목 중 OpenGL 설정이 나오게 되는데요. Use maximum texture size 부분에 체크를 하면 불러오는 이미지의 품질(선명도)를 높일 수 있으세요.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Use maximum texture size 란에 체크하는 순간! 팝업메시지가 하나 나타나게 되는데.. 이미지를 불러오면 높은 해상도 출력때문에 컴퓨터가 오히려 느려질 수 있다는 경고인데.. 그렇다면 작업량이 많은 경우에는 수 많은 마감재와 이미지를 써야 될텐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결국 이미지의 해상도는 모두 포기해야 된다는 말인가요?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실제로 용량이 큰 파일을 열어서 모델링과 맵핑을 장시간 하다보면 스케치업자체가 느려짐을 경험하게 되고 Use maximum texture size 부분에 체크를 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 딜레이속도가 빨라짐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일정부분 개선을 위해서 본문에서는 확장기능을 설치하여 높은 이미지를 스케치업 화면에 그대로 출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사용될 루비는 Large Image Splitter 라는 루비이며 개발자 Aerilius 의 무료루비입니다.

(Aerilius은 Ruby Console 를 배포하는 개발자 중 한분이기도 합니다.)

해당 설치파일은 익스텐션 웨어하우스(Extension Warehouse)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데요. 스케치업 상단메뉴 Window - Extension Warehouse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사이트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필요한 확장기능 검색하기

루비이름인 'Large Image Splitter' 라고 검색하거나 그냥 'Image'라고 검색하면 검색결과에서 해당루비페이지를 쉽게 찾으실 수 있으세요~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트림블사 계정이나 구글계정이 있다면 로그인 후 바로 인스톨할 수 있는데요. 아쉽게도 스케치업 2017 이하버전 사용자는 설치는 가능하나 실행이 안되기 때문에 사용하실 수 없으며 스케치업 2018 또는 2019버전에서만 작동이 되세요. 이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툴바아이콘이 나오게 되는데요. 굉장히 직관적인 아이콘그림임에도 불구하고 뭔가 섬뜩한 느낌이 드는 것 같습니다. (이쁘게 좀 그려놓지...ㅎ)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예제파일로 저는 6000x3750 픽셀 해상도의 이미지를 준비하여 스케치업으로 불러왔습니다.

스케치업으로 이미지를 불러오면 처음에는 선명하게 보이다가 화면에 내려놓는 순간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흐릿하게 변경되어 보여짐을 알 수 있는데요. 6000픽셀 사이즈의 높은 해상도임에도 불구하고 아래 참고이미지와 같이 화질은 엄청 안좋아 보이게 되세요. 원래 저런 이미지는 절대 아닌데 말이죠.ㅠ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흐릿하게 보여지는 스케치업이미지

그래서 불러온 이미지를 선택한 다음 Splitter 루비를 사용해볼텐데요. 루비의 원리는 큰사이즈의 이미지를 여러개로 등분하여 각각의 텍스처해상도를 높여 전체적으로 해상도를 원본처럼 높이는 방식입니다.

사용방법도 간단한데 아이콘이 하나밖에 없기때문에 클릭하고 분할할 텍스처 사이즈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가로로 3등분으로 맞추려고 2000 픽셀 사이즈를 입력하였습니다.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이미지 분할하기

약간의 읽는 시간을 기다린 후 놀라운 변화... 아래와 같습니다.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선명해진 이미지

쉽게 체감할 수 있을만큼 이미지의 화질이 갑자기 좋아진 것을 느낄 수 있었구요.

뭔가 속이 뻥 뚫린듯한 기분이네요^^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같은 부분을 잘라서 비교해보면 더 확실히 알 수 있었고 불러오는 이미지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이미지 선명도 비교

등분된 이미지는 스케치업상 이미지상태를 유지하였고 루비를 실행한 순간 트레이창에 분할된 텍스처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각각의 텍스처는 해상도가 상당히 높은 상태임으로 부분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듯 싶기도 하구요.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분할 사이즈 참고

단점은 분할과정 때문에 이미지에 정해진 크기대로 격자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별도의 렌더링과정에서는 격자는 나오지 않아서 좋았습니다.

그럼 이런 확장기능은 어떤 작업에 활용하면 좋을까?

아무래도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활용해야 되는 경우!

투시도나 조감도를 표현함에 있어서 높은 해상도의 위성사진 또는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이미지의 경우라면 소개드린 루비를 통하여 충분히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네이버 항공뷰 6000x3762 픽셀의 이미지를 불러와서 루비를 실행한 결과물이세요.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항공뷰 불러오기

상당히 만족할 만한 해상도인 것 같구요~ 건물만 모델링하고 렌더링하지 않고도 배치만 잘 하면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규모 아파트단지등을 표현하는 경우 주변사이트는 항공뷰이미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미지가 흐릿하면 전체적인 퀄리티마저 떨어져보이기 때문에 이런 루비기능을 함께 사용하시면 좋을듯 싶네요.

필요로 하시는 분들께 도움되길 바라고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즐겁고 건강한 하루되세요~

감사합니다.

스케치업 해상도 설정 - seukechieob haesangdo seoljeong

#스케치업, #스케치업항공사진, #이미지불러오기, #드론이미지스케치업활용하기, #스케치업루비, #스케치업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