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사용성 평가 설문지 - aeb sayongseong pyeong-ga seolmunji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전통 장신구인 노리개를 한옥의 건축 요소를 활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 연구 논문이다. 현대장신구는 다양한 매체와 기술의 수용으로 역할을 확장하여 독립적인 조형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노리개는 변함없는 디자인과 쓰임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형식에 머물며 일상에서의 착용이 제한되었으며, 그 결과 장신구로서의 역할이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노리개의 역사와 문화적 역할을 고려해 봤을 때, 노리개는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발전해야 할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동시대에 맞게 개발하려는 노력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 노리개 고유의 역사와 의미를 바탕으로 동시대적 재료와 기술을 활용하여, 노리개의 역할 확장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 표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노리개의 구성과 그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여, 주 장식인 주체 디자인의 조형적, 기능적 변화를 전개하였다. 주체 디자인은 동양의 아름다움을 내재한 한옥의 외적 요소와 내적 의미에 주목하여, 창을 구성하는 조형 요소인 선과 마당에 내재한 여백을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리개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주체는 혼례 이후 현대 의복에 지속적으로 브로치로 착용이 가능하여 현대화 된 장신구의 역할을 지속할 수 있다. 둘째, 전통 한옥의 조형적 요소를 디자인에 접목한 노리개는 문화의 향유를 바탕으로 전통의 현대화를 실현한다. 셋째, 한옥 고유의 비움에 대한 정신성을 반영한 디자인은 노리개의 주체에 열린 공간의 형태로 발현되어 동양의 여백의 미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노리개의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reinterprets the traditional Korean jewelry of norigae in a contemporary way, using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hanok. Contemporary jewelry has expanded its role by accepting various media and technologies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ndependent field in plastic arts. However, the norigae remains in the existing traditional form due to its unchanging design and use, and is not often worn in daily life. As a result, its role as a piece of jewelry has gradually decreased.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 norigae, it is worth being explored and developed further, but the efforts to develop it according to today's trend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k for a new expression direction to design the norigae by utilizing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on the basis of its unique history and meaning. For this, we have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norigae and characteristics of its shape, and unfolded changes of its form and function in its principal design (the main decorative part of the norigae). For the sake of the principal design of the norigae, we paid attention to the external elements and internal meanings of hanok where traditional Korean beauty is inherent, and used lines of its windows and empty spaces in its yards as motif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 design of the norigae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norigae can continue to be worn as a brooch on modern clothes after a wedding ceremony. Thus, it can continue to play a role of jewelry. Second, the norigae to which the esthetic elements of traditional hanok applies realizes the contemporization of tradition in terms of the enjoyment of culture. Third, the design reflecting the spirit that the emptiness of hanok implies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n open space in the principal design of the norigae, showing the beauty in the emptiness of hanok.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hoped that the design for the contemporization of the norigae will be continuously studied.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한국은 공동체의 재생과 회복을 위한 커뮤니티의 복원에 집중하고 있다. 공동체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갈등을 해결하고, 소통과 융합으로 공동체에 가치 창출을 추진한다. 그러므로 주민 협의체를 구성하여 주민, 지자체, 지역 전문가의 융합 과정이 필요하다. 사회적으로 노인 인구 증가와 공동체가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존엄을 기본으로 남은 삶을 누리고 마치는 과 정까지 스스로 선택하는 것으로 고려한다. 노인은 새로운 지역과 시설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므로, 익숙한 집과 취향을 고려한 지역에서 자립을 지원한다. 동네 주민과 정을 느낄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고려한다. 노인 서비스 연구를 위한 사전 연구 공동체 스토리, 유럽과 일본의 공동체, 노인 복지 사례를 기본으로 가치 창출을 위한 5단계 과정과 체계를 기본으로 한다. 또한, 정부의 노인 서비스 정책과 관련 선진 연구를 보완한다, 그리하여 지역 재생을 고려한 노인 서비스를 제시한다. 연구의 핵심은 노인 중심으로 변화하는 지역에 융합을 통한 가치창출로 기반 시설 재생과 협동조합 중심에 자생으로 문화복지 완성형 노인 서비스 체계화를 제시한다. 사례 모델을 분석하고 보완함으로써 완성형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획일적인 정부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의 특징을 갖는 노인 공동체를 중심으로 노인 서비스를 이룩할 수 있다.

Korea is concentrating on community restoration for the purpose of regeneration and recovery of community. The community works as the center for resolving the conflicts among the residents, promoting value cre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fusion to the community. Therefore, the convergence process among residents, municipalities and local experts is required by forming a resident council. Socially, the aged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number of communities is increasing. Hence this study deliberates on granting the opportunity to choose a course to enjoy and finish the rest of one's life to the aged based on the dignity of the aged. Since the aged have difficulties in new places and facilities, support to their self-reliance should be provided in familiar homes and areas that take into account their tastes. Community services where they can feel affection to the locals are considered. This is based on a five-step process and system for value creation based on precedent studies on community stories for the study of services for the aged, European and Japanese communities, and welfare cases for the aged. In addition, this study complements the government's service policy for the aged and related advanced researches, thus proposing services for the aged in consideration of local regeneration. The core of this study is creating value through convergence in a changing area, presenting a systemization of services for the aged that are complete in cultural welfare by regenerating infrastructure centered on self-sufficiency in the center of cooperatives. A complete form is presented by analyzing and supplementing the case mode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services for the aged centered on the elderly community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diverged from the monolithic government support method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PPL은 방송프로그램 안에서 상품, 상표, 회사나 서비스의 명칭이나 로고 등을 노출시키는 형태의 광고로 2010년 방송법 개정으로 합법화 된 후, 그 규모가 1,000배 이상 증가하였다. 드라마 PPL의 주된 성장원인은 글로벌화에 따른 제작규모의 확대되었고, PPL을 통한 상품 및 서비스 홍보효과 증가가 확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PPL의 노출방법이 과도해짐에 따라 드라마에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나아가 PPL이 시청율 저하에 영향을 주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PPL의 특성요인을 파악하고 특성에 따른 저항의 정도와 함께 소비자 저항이 시청자의 드라마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맥락이 부합되지 않음, 설득위협을 느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음의 세 가지 특성 중 PPL이 설득위협을 하는 느낌이거나 맥락이 부합되지 않은 노출을 할 때 소비자 저항을 높게 느꼈으며, 설득위협은 드라마 시청만족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소비자저항이 높으면, 드라마 시청만족은 낮아졌다. 연구결과 PPL의 특성 중 소비자저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설득위협, 맥락 부합도 순이었다. 소비자 저항이 높으면 드라마 시청만족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드라마를 제작하는 제작사 입장에서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스토리 흐름과 부합하는 PPL 제품이나 서비스를 엄선해서 선정하여야 하며, PPL을 집행하는 기업이나 브랜드 입장에서는 시각, 청각, 시청각적으로 PPL을 언급하는 것은 소비자로 하여금 설득위협과 함께 드라마의 맥락에 맞지 않아 저항을 느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PPL is advertisement in the form of exposing about product, brand, company and service name, logo etc within broadcast program. This size is increased more than 1,000 times since 2010. The main reason for growth up of drama PPL is very clearly. PPL was bring to enlarged production scale due to globalization and can get product and service PR effect by PPL. But, consumer's resistance is also grow up. Because, exposure method of PPL become excessive. Furthermore, It's happening PPL get effect on a drop in ratings. So, this study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PPL by consumer, degree of resista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resistance is confirmed effect about drama satisfaction of audience. As a result, characteristics of PPL is distinguished out of context, feeling threat of persuasion, providing unusefulness information. When consumer feel the out of context and threat of persuasion they have resistance, threat of persuas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view satisfaction. And, if consumer resistance was high, drama satisfaction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PPL,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consumer resistance were persuasion threats and contextual conformity. If consumer's resistance is high, view satisfaction decreased. So,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this. The PPL executive company and brand side, have feel resistance can because of persuasion threats and contextual conformity to the consumer by visual, auditory, audiovisual.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고 세계에서 5번째 높은 건물이며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 중 하나인 롯데월드타워의 건축 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탐구하여 건축물을 모티브로 한 상품개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타워의 건축 디자인 연보와 내용을 살펴보고, 타워 건축물의 조형적 디자인 요소를 참고문헌과 각종 보고서 및 보도자료 등을 바탕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둘째, 상징건물이나 명소 등의 관광지에서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는 문화상품의 개발 목적과 초고층 건물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개발사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타워 전망대인 'SEOUL SKY'에서 개발하여 판매하는 문화상품 중 롯데월드타워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개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연구자의 상품개발 과정 자료와 대외에 공개된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타워의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특징은 콘텐츠 설명이나 상징적 요소를 활용하면서 기존 기념품의 이미지를 최대한 배제하고, 실생활에서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디자이너 및 작가와 협업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 두드러진다는 점이었다. 본 연구는 롯데월드타워와 건축디자인의 조형미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함과 동시에 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igorate the industry of developing products with motifs based on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by exploring cases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d the design of Lotte World Tower; this building is currently the tallest building in South Korea and the fifth tallest building in the world, in addition to being one of Seoul's most famous landmarks.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history and content of the tower's design and conducted an analysis by dividing the tower's formative design elements into three types based on reference materials and various reports and press releases.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bjectives of cultural products that are sold at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symbolic buildings or important landmarks. Third,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researches were selected by limiting them to cultural goods that used Lotte World Tower's architectural design as a motif and cultural goods sold at the Seoul Sky Observatory, that occupies the 117th to the 123rd floors of the tower.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evelopment reports, product catalogues, field studies, and related news artic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ducts that use architectural design motifs: these products can be continuously used in real life by using content descriptions or symbols while excluding existing souvenir images as much as possible; additionally, this study showed that various striking visual expressions are a result of collaboration of product developers with designers and artis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theoretically systemize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 the aesthetic beauty and architectural design of Lotte World Tower, and to present the potential of creating high-value cultural product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도자기 소결 과정에서 점토의 치밀화를 높이는 융제인 장석을 규회석으로 대처하고 저온 소결에서도 점토의 치밀도를 높여 자기의 강도와 옹기의 기공 특성을 이용한 삼투압 관수 화분을 제작하였다. 도자기 원료 및 소결 시편은 화학적, 물리적 물성과 특성 분석하기 위해 화학분석, 결정상, 미세구조 삼투압성 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규회석 원료는 장석과 비교하여 CaO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편 F의 경우 흡수율 16.8%, 꺾임 강도 73.1MPa로 점토 내에 많은 기공을 형성하면서도 수분 흡수율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는 1,200℃ 저온 소결 과정에서 점토 내에 회장석 (anorthite) 결정이 형성되어 점토의 치밀도가 높아졌으며, 소재 F의 조합 비율이 최적의 조건으로 판단하였다. 삼투압 방식의 도자기 화분은 식재 부와 담수 부로 분리한 이중 구조로 제작하였고, 수분은 화분 벽면의 기공을 통해 적절하게 식재 부로 확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삼투압 관수 화분은 반려 식물의 특성에 따라 생육 기간과 유지관리 방법이 다르지만, 실내용 관엽식물의 경우 생장 유지가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삼투압 관수 화분은 도기의 투수성과 자기의 강도 특성을 접목한 새로운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process of ceramic sintering, osmotic pressure irrigation pots were manufactured by using wollastonite, which is a flux that increases clay densification, with wollastonite, and by increasing the density of clay even during low-temperature sintering, using the strength of porcelain and the pore characteristics of pottery. In order to analyze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ceramic raw materials and sintered specimens, chemical analysis, crystalline phase, and microstructure osmotic analysis were performed. The wollastonite material showed a relatively high CaO content compared to feldspar, and specimen F had a water absorption rate of 16.8% and a bending strength of 73.1MPa. Thi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anorthite crystal phase in the clay during the low-temperature sintering process at 1,200℃,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clay, and the combination ratio of material F was judged to be the optimal condition. The osmotic pressure ceramic pot was manufactured with a double structure separated into a planting part and a fresh water part, and it was confirmed that moisture was properly diffused into the planting part through the pores on the wall of the pot. Osmotic irrigation pollen has different growth period and maintenance metho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plants, but it was confirmed that indoor houseplants maintained growth well. It is expected that osmotic irrigation pots can bring out new values by combining the water permeability of pottery and the strength of porcelain.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본 연구는 4년제 미용관련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그에 따른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 안양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조사기간은 2022년 05월 15일부터 2022년 06월 04일까지 20일간으로 2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30부의 설문지를 회수한 후, 그중 내용이 불성실한 1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17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실습, 실무과정 만족도, 이론과정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만족도가 개편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실습, 실무과정 만족도가 개편 필요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문제점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교육과정 문제점은 전반적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교육과정 문제점이 개편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문제점은 개편 필요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미용관련학과 교육과정의 시대적 요구와 현실적 문제를 탐색하여 미래 뷰티미용관련 교육과정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tudents′ satisfaction and problems with the fouryear beautyrelated curriculum, and to study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firstto fourthyear students of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Anyangsi, Gyeonggido, and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 people from May 15, 2022 to June 4, 2022. After collecting 230 questionnaires, among them, a total of 217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13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cont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curriculum satisfaction on overal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practice, practical process, and theory proc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curriculum satisfaction on the need for reorganization,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the practice proc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eed for reorganization. Third, as to the effect of curriculum problems on overall satisfaction, curriculum proble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overall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urriculum problems on the need for reorganization, it was found that curriculum proble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eed for reorganiz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beautyrelated curriculum by exploring the needs and practical problems of the times in the curriculum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저출산과 고령화의 문제는 지방도시의 발전을 크게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대도시 중심의 개발로 인해 지방도시는 점점 낙후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라북도 고창군은 여성 친화적인 유니버설 개념의 공공 디자인 개선을 고려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상징적인 의미이며 아동, 다문화 가정, 장애인, 노인에 대한 배려를 포함하여 지역주민 모두가 살기 좋게 만들어가는 도시를 의미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긍정적 사례를 살펴보고 고창군의 가로경관, 공공건축 및 시설, 시각매체 등에 여성 친화적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를 접목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활용한 공공 디자인 개선을 통해 노약자들이 안전이 보장된 사회 시스템에서 보다 많은 사회활동의 기회와 여건이 마련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외부인구의 유입으로 이어져 지역 경쟁력 강화의 효과를 가져 온다. 이러한 개선사업으로 고창군은 여성가족부가 선정하는 '여성친화도시'로 지정 되었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활용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은 여러 지방도시의 긍정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issues with low birth rates and aging play a key role in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ities. Also, the majority of development continues to focus on large cities, leaving regional cities falling behind. To solve these issues, Gochang-gun in Jeollabuk-do investigated how to improve public design towards a Universal Design of Women-Friendly Cities. A Universal Design presents a symbolic meaning of caring for the population which is considered vulnerable or excluded. It also means a city that supports every resident, not only women but also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disabled, and the elderly, to have better lives. We examined positive cases of existing Universal Design of analyze public design elements applied to the street scenery, architecture, facilities and visual media in Gochang-gun. The effects of improving the design of Universal Design are the facilitation of equal participation of women and men in local policies and strengthening women's capabilities, caring, and safety. More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for social activities can be provided in safer and more supportive social systems. This can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increase the influx of external population, strengthening regional competitiveness. Gochang-gun was designated as a "Women-Friendly Cities." sele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project to improve public design of the to various regional citie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오늘날 사용자들은 자신이 무엇을 보고 듣고 먹는지 사진을 찍고 인스타그램 피드에 올려 공유하면서 타인과 소통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긴다. 이에 상업 공간을 연출할 때 사용자가 방문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의도된 구조물을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공간의 심미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포토존'을 마련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를 수 있는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하나의 연출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 도구로 '썸트렌드'를 활용하여 물리적인 공간 중 '카페'를 '포토존'과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 '연남동' 일대의 카페 5곳을 선정하여 분석하여 업계 흐름을 알아보고 FIG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포토존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이미지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요소는 공간구성, 가구와 오브제, 조명, 색채 총 4가지로 도출하였다. 이미지는 복수 체크 되었고 카페 5곳 중 3곳이 가구와 오브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텍스트에 나타난 카페 공간 특성은 힐링의 공간, 경험 공유의 공간, 문화/가치표현의 공간으로 3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기준으로 피드에 공유된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5곳의 카페 중 3곳이 경험 공유의 공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뷰 실험자가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카페 게시물은 주로 음식을 비롯하여 매장 내 소품, 가구 등 오브제를 배경으로 하거나 테라스, 창문을 배경으로 하는 인물사진을 위주였으며 SNS 공유의 목적이 개인의 정체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포토존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생명력 있는 상업 공간 계획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s quite natural for users in these days to take photos of what they see, listen, and eat and upload them on their Instagram feed to communicate with others. Some commercial spaces have set up 'photo zone' by installing a few structures or giving aesthetic impression in the space when designed, so that users can visit and take photos. It's one of the ways to create or decorate sustainable space to satisfy people online and offline. Thus, this study aimed to select and analyze five cafes situated at Yeonnam-dong, stay on top of business trends, and conduct FIG interview to find out the photo zone preferred by users, especially through 'Sometrend' as a text mining tool, given that 'the cafe' was most involved with 'the photo zone'. Firstly, the research findings came up with four elements in design expression shown in the image: space organization, furniture and objects, lighting, and colors. Images were counted plurally and three cafes from fives showed high percentage in the furniture and objects. Secondly, there're three features of cafe as suggested in the text: space for healing, space for sharing experiences, and space for culture and value expression. A total of three cafes turned out to be spaces for sharing experiences from five cafes, when analyzing text shared on the feed based on features above. Thirdly, the cafe post uploaded on Instagram by interviewees were mostly food photo or portrait photo taken against objects in the cafes like props and furniture, or terrace and window; and it turned out the purpose of sharing images on social accounts was related to personal identity. It's expected to see this study could help understand user's needs on the photo zone and contribute to planning the lively commercial space.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도시농업은 '도시'와 '농업'이라고 하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단어의 조합으로, 이는 각박한 도시민의 삶이 건강과 여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생각, 건강한 레져 활동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공지반으로 건설된 도시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자연지반의 부족으로 인해 토양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활용하여 식재하는 재배방식이 거의 유일한 대안이다. 이런 이유로 도시녹화에서는 도시생태와 경관을 목적으로 건물의 옥상에 대규모 방수 작업에 의한 포설형으로 정원을 만들지만 이 또한 큰 의미에서 건물의 옥상이 인공의 재배용기로 활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도시농업은 도시 근교의 체험 농장이나 공동체 농장을 제외한다면, 도시 내의 빈 땅이나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개인의 여가 활동과 먹거리 생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때 용기(텃밭상자)를 활용한 재배방식이 부족한 토지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를 사용하는 식재는 토양의 양과 물의 공급이 자연토양에 비해 현저히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토경과 수경재배가 모두 가능하며 토심의 확보와 물 공급이 장시간 원활한 다기능 텃밭상자의 디자인을 제안한다. 또한 대량생산을 위해 금형의 설계와 시사출의 제작, 이후 다양한 판매 방식과 보급 방법까지 기술하였다. 결론에는 여전히 거론되는 농업인과의 상생문제와, 도시의 대기오염에 따른 식용식물 생산의 안정성 문제에 대해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Urban agriculture is a combination of the words 'urban' and 'agriculture', which are somewhat inconsistent. . In cities built with artificial ground, due to the lack of natural ground on which plants can grow, the cultivation method of planting using containers that can hold soil is almost the only alternative. For this reason, in urban greening, a garden is created by large-scale waterproofing on the roof of a building for the purpose of urban ecology and landscape, but this also means that the roof of the building is used as an artificial cultivation container in a big sense. On the other hand, urban agriculture, except for experiential farms and community farms in the vicinity of cities, aims to utilize empty land or leftover spaces in the city for individual leisure activities and food production. In this case, it can be an alternative to land that lacks a cultivation method using containers (garden box). However, planting using container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soil and water supply are significantly weaker than that of natural soil. For this reason, we propose a design of a multifunctional garden box that can be cultivated both in soil and hydroponics, and in which the soil core and water supply are smooth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design of molds for mass production, production of previews, and various sales methods and distribution methods were also described.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add suggestions on the problem of coexistence with farmers and the stability of edible plant production due to urban air pollution, which are still being discussed.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최근 많은 대안형 아트페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지만 대부분 운영 구조의 한계, 재원의 부족, 유사 아트페어와의 경쟁 등으로 인해 오래 버티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징을 분석하고, 운영 과정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을 짚어봄으로써 대안형 아트페어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중사례 분석 및 심층 면접을 채택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을지아트페어'를, 해외 아트페어로는 '인디펜던트 아트페어', '스프링 브레이크 아트쇼'를 각각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안형 아트페어의 특성은 첫째,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의 정보 교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둘째, 신진작가와 신생공간에 기회를 제공하고 작가와 매체에 스펙트럼을 넓혀 작품의 다양성을 형성한다. 셋째, 기관과의 협업과 갤러리들 간의 소통을 통해 행사 운영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집중하지만, 작품 가치에 관한 신뢰성 면에서는 평가하기 부족한 면이 있다. 넷째, SNS 홍보와 현장이벤트, 부대행사를 활용하여 관객의 참여를 높여 개방성을 높이고 있다. 다섯째, 비슷한 상황과 관심사가 비슷한 신생공간과 신진작가들이 모이기에 자연스럽게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한편 대안형 아트페어의 문제점으로는 SNS에 치중된 홍보, 예산 부족, 운영 미숙, 단조로운 수익구조 등이 도출되었다. 발전 방안으로는 다양한 홍보 채널을 확대, 안정적 재정을 위해 수익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 충분한 인력 확보와 철저한 사전 준비 등을 제시하였다.

Recently, many alternative art fairs have been created one after another, but most of them are disappearing without being able to endure for long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ir operational structur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nd competition with similar art fair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plan of the alternative art fai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and pointing out the problems pointed out in the operation process. As the research method, multi-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dopted. 'Eulji Art Fair' was selected as a domestic example, and 'Independent Art Fair' and 'Spring Break Art Show' were selected as overseas art fai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are that, first, it serves as a new space and a place of information exchange for up-and-coming artists. Second,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up-and-coming artists and new spaces, and broadens the spectrum of artists and media to form a diversity of works. Third, although it focuses on enhancing the credibility of the event managem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stitu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galleries, it is insufficient to evaluate the credibility of the work value. Fourth, the openness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through SNS PR, field events, and side events. Fifth, a network is formed naturally when new spaces and emerging artists with similar situations and interests gather. In addition, as problems of the alternative art fair, publicity focused on SNS, lack of budget, inexperienced operation, and monotonous profit structure were derived. As a development plan, a plan for profit improvement was prepared for expanding various PR channels and stable finance, securing sufficient labor and thorough preparation in advance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