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 원리 - jadongcha saideu beuleikeu wonli

자동차 브레이크의 종류와 작동원리

안녕하십니까? 특허받은 신개념 초보운전자 아이템, '차선변경 도우미 스티커'를 판매하는 재미난입니다 ^^

오늘은 자동차의 여러가지 브레이크 종류와 그 작동원리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 원리 - jadongcha saideu beuleikeu wonli

우선,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는 브레이크의 종류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가만히 생각해보면 쉽게 떠오르는 것이 딱 두가지 있습니다.

바로 '풋브레이크''사이드브레이크'

​풋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서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는 방식이고

사이드브레이크는 내리막이나 오르막 주차 시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드르륵! 소리를 내며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평소에 잘 사용하지는 않치만 빗길이나 눈길에서 자동차의 속도를 낮춰주는 '엔진브레이크'라는것도 있습니다.

이미 오래전에 저희 블로그를 통해서 '엔진 브레이크'의 개념을 설명한바 있었지요 ㅎㅎ

엔진브레이크의 용도와 사용방법 알아보기 클릭!

 

자, 그럼 이 세가지 브레이크들이 어떤 원리로 차량을 멈추게 하는 것인지 설명들어가겠습니다!

<풋브레이크의 작동원리>

1. 디스크 브레이크​

위 사진은 휠 내에 들어있는 조그만한 바퀴입니다. 위 녀석이 돌아가면서 바퀴가 도는것이죠.

딱 보시면 보라색?깔 껌딱지 같은것이 바퀴에 붙어 있습니다. 이걸 디스크브레이크라고 합니다.

우리가 운전석에서 밟는 브레이크와 위 사진의 '디스크'라는 놈은 액체호스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디스크가 압력에 의해 바퀴를 쪼이게 하지요. 그 마찰력으로 바퀴의 회전 수를 줄이는 원리입니다.

바퀴 바깥에서 잡아줌으로서 자동차가 정지하게 됩니다.

2. 드럼식 브레이크

풋 브레이크의 두번째 종류는 바로 '드럼식 브레이크'입니다. 요놈의 작동원리는 디스크브레이크와 같습니다. 다만 디스크브레이크와 차이점이 있다면 이놈은 브레이크를 밟을 시, 바퀴를 안에서 바깥으로 팽창?하면서 마찰을 일으켜 잡아주는 셈이죠.

아래는 브레이크 작동원리를 자세하게 설명한 동영상 자료입니다 참조하세요 ^^

<핸드 브레이크(사이드브레이크)의 작동원리>

핸드브레이크는 뒷바퀴와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내리막길이나 오르막길에 주차 시 혹시나 바퀴가 굴러가지 않도록 풋 브레이크와 같은 원리로 바퀴를 계속 잡아주고 있는겁니다.

<엔진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

자전거를 타보시면 아시겠지만 기아를 내렸을 때 아무리 빨리 달리려 해도, 앞으로 잘 나아가질 않습니다. 자동차 운전도중 기아를 내리게 되면 마찬가지로 회전수(RPM)만 올라가고 실질적인 동력이 약해저 바퀴의 회전저항만 발생하게 되어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속 기어일수록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자동차가 정지하게 되는 여러가지 방법과 그 원리들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 한 번 찐~~~하게 눌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카쟁이 구루우룽입니다.

오늘은 자동차의 오랜 시간을 함께하는 주차!

그중에서도 주차 시 항상 유념해야 하는 사이드브레이크(파킹 브레이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경사진 비탈길에서 사이드 브레이크를 제대로 올리지 않고 화물차를 주차하는 바람에 차량이 굴러내러 가면서 행인을 덮쳐 3명을 다치게 하는 사고를 낸 50대 남성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

2. 10일 오전 8시 12분쯤 제주시 한림수협 선수물 창고 앞 해상으로 에쿠스 차량이 추락해 해경이 육상으로 인양했다.
현장에 출동한 해경이 물속에 들어가 차량 내부를 확인한 결과 사람은 탑승하지 않은 상태였다.
해경 조사 결과 차를 몰고 온 차량 소유주 A 씨의 아내가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고 어선에 올라간 사이 차가 추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요 며칠 위와 같이 무서운 기사들을 접하게 되었는데요.

이처럼 운행하는 시간만큼 주차되어있는 시간이 많은 자동차의 필수라고 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단순하게 기어 변속레버의 P기어, 즉 파킹버튼과는 다른 사이드브레이크의 중요성과 올바른 사용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어변속레버 P기어의 작동원리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 원리 - jadongcha saideu beuleikeu wonli

기어 변속레버를 P에 넣으면 바퀴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변속기 내부의 파킹 기어에 그림과 같은 자그마한 고리가 걸려서 변속기 장치(미션)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원리입니다.

파킹 기어의 톱니 사이에 파킹 폴이라는 작은 고리가 채결돼 걸리게 되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원리 이기에 조그만 톱니 하나가 자동차의 전체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소비자들과 가장 친숙한 중형 승용차를 기준으로 차량의 무게(공차중량)가 1500Kg 이상입니다.

비탈진 경사에서 미션 사이의 자그마한 톱니바퀴 하나에 걸려 지태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사이드 브레이크(파킹 브레이크), 주차 브레이크를 무심결에라도 걸지 않으면 미션에 큰 무리가 가게 된다는 점(우리 붕붕이가 망가지게 되겠죠) 인지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이런 경험들이 있으신지 모르겠지만, 경사에서 기어 변속레버를 P에 넣고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발을 떼면 차체가 덜컹하는 것도 위에 말씀드린 파킹 폴이라는 작은 고리가 정확하게 톱니 사이에 체결되기 위해 덜컹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반대로 P에서 D로 변속 후에 출발을 하게 될 때 텅하고 튕기는 소리가 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의 반복은 미션의 마모가 누적되고 손상을 가져와서 결국 제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사이드브레이크의 작동원리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 원리 - jadongcha saideu beuleikeu wonli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 원리 - jadongcha saideu beuleikeu wonli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 원리 - jadongcha saideu beuleikeu wonli

주차 브레이크의 경우 요즘 차량에 나오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와 흔히들 익숙하게 레버를 댕기거나 발로 밟는 형태의 기계식 파킹 브레이크로 나눠지게 됩니다.

작동원리는 물리적인 힘으로 작동을 하게 하느냐 전자 버튼을 통해 모터의 힘으로 작동을 하게 하느냐의 차이일 뿐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되는 원리는 같습니다.

사이드 브레이크는 전자식이나 기계식이나 모두 케이블을 이용하여 드럼 혹은 캘리퍼 쪽을 차량과 맞닿게 하여 차량을 잡아주고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상세 설명을 드리자면 먼저 드럼 타입은 주차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마찰재인 슈가 움직여서 드럼 안쪽과 맞닿아 차량을 잡고 있도록 하는 원리이고 캘리퍼 타입은 주차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디스크와 맞닿아 차량을 잡고 있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사이드브레이크의 올바른 사용방법

차량 매뉴얼을 봐도 찾아볼 수 있는 부분이지만 정리를 해드리겠습니다.

주차 완료 후 사이드 브레이크 체결 후 기어변속레버를 P 으로 옮겨주면 되겠습니다.

주차완료 - > 사이드브레이크 체결 -> 기어 변속 P

예외의 경우는 야외 기온이 영하이고 장시간 야외 주차를 하게 될 경우입니다.

이때 사이드 브레이크를 체결하게 된다면 드럼과 라이닝이 붙어있는 상태로 얼어붙어 사이드 브레이크의 체결이 풀리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평지가 아닌 경사로에선 어떻게 하나요??

기어를 P어 놓고 바퀴 하단에 큰 돌, 벽돌, 나무 등을 이용하여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셔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