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빵 역사 - ilbon ppang yeogsa

일본 빵 역사 - ilbon ppang yeogsa
구운 식빵 위에 아이스크림, 생크림, 잼을 곁들인 퓨전일본빵 ‘허니 브레드’.

일본 음식 중에는 카레, 돈가스 등 외국에서 들어온 음식이 많습니다.

일본에 처음 빵이 들어온 것은 1543년입니다.

표류 중이던 포르투갈 선박이 우연히 다네가시마란 곳에 상륙하게 되면서부터입니다. 다네가시마는 일본 가고시마현 오스미 제도의 섬입니다. 가고시마현 내의 유인도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인구는 아마미오섬 다음으로, 면적은 아마미오섬, 야쿠섬에 이어 세 번째입니다. 빵과 함께 포르투갈의 상인에 의해 유럽의 화승총이 일본으로 전해진 곳이기도 합니다.

빵이 일본에 전해지긴 하지만 쌀이 주식이던 일본인에게 빵이 주식이 될 수는 없었고, 단지 외국무역상을 위한 음식일 뿐이었습니다. 다만 외국과의 무역이 활발했던 나가사키 지방만 빵이 조금 번성했다고 합니다. 그 후 에도시대 막부의 쇄국정책이 시작되면서 빵 문화도 같이 쇠퇴해져 갔습니다.

다시 빵이 각광받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200여년 후인 1840년 중국과 영국의 아편전쟁 때라고 합니다. 도쿠가와 막부는 중국과의 아편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이 일본으로 공격해 오리라 예상합니다. 그래서 에도만의 경비를 명합니다.

막부는 전쟁이 일어났을 때 병사들의 휴대 식량으로 빵을 생각했습니다. 빵은 가벼워서 운반하기 쉽고, 밥과 달리 불을 피우지 않아도 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밥을 지을 때 나는 연기가 전략상 불리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1842년에는 본격적인 제빵소를 만들어 나가사키로부터 빵 기술자에게 빵을 굽도록 했습니다. 이때의 빵을 일본빵 1호라 할 수 있으며 지금의 건빵과 같은 형태라고 합니다. 에가와는 ‘일본빵의 아버지’로 불리고 이것을 기념해 매월 12일이 ‘빵의 날’로 불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고 이 빵도 식량으로 이용되지 않았습니다. 1858년에 에도 막부가 미국, 네덜란드,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과 수호통상조약을 맺어 외국인의 치외법권을 인정하며 개국을 합니다. 자연스레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이 많아져 거주지가 있는 요코하마에 외국인이 경영하는 여러 군데의 빵 가게가 생깁니다. 이어서 나가사키나 하코다테의 거주지에서도 빵 만들기를 하게 돼 조금씩 일본인의 사이에도 빵이 퍼져나갑니다.

한편 긴자 기무라야의 창업자 기무라 야스베에씨는 일본인의 기호에 맞춰 일본술 만들기에 사용하는 미감자(술종)로 만든 빵 반죽을 개발하여 1875년 이 반죽으로 팥고물을 싸 구운 ‘팥고물 빵’을 팔기 시작해 빅히트를 칩니다. 그 후 서민 사이에서 팥고물·잼·크림빵 등이 정착해 나갔습니다.

일본음식 전문 ‘가츠라’ 대구·경북지사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