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통증 안압 - nun tongjeung an-ab

‘안압’은 눈 건강을 위해 반드시 신경 써야 하는 요소이다. 안압이 높아지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녹내장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눈 통증 안압 - nun tongjeung an-ab
눈에 이물감을 느끼는 여성

안압이 높아지면 어떤 증상이 생길까?

안압이 높아지면 눈이 뻑뻑하고 쉽게 피로해지며, 때로는 눈이 빠지는듯한 안구 통증을 느끼거나 안구건조, 열감, 충혈 등의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안압이 높아지면서 시신경을 압박하고 혈류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안압 상승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녹내장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빈도가 높아진다. 특히 고령자에게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 그저 피로 때문인 것으로 생각하고 방치하면 녹내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과를 찾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안압 낮추는 방법은?

안압이 높아지면 안구건조증이 발생하므로 인공눈물 등으로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짜거나 맵고 짠 음식을 멀리하고 스트레스를 조절해야 한다.

꾸준한 유산소 운동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안압 관리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PC 사용을 줄이고, 꼭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창문 밖 먼 풍경을 바라보는 등 눈에 휴식을 주어야 한다. 눈에 피로감이 들 때마다 눈 주변을 마사지하는 것도 좋다.

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는 영양소로는 안토시아닌이 있으며 아로니아 등 블랙푸드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하이닥 영양상담 임채연 영양사는 “안토시아닌은 안압을 정상으로 돌려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모세혈관도 튼튼하게 해주고 안구부종과 안구출혈 방지에도 도움을 준다”고 조언했다.

안압은 안구 내부가 유지하고 있는 일정한 압력을 말하는데요.

 안구 속에는 방수라는 액체가 있는데

이것은 안구에 탄력을 주는 압력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방수는 홍채 뒤에 있는 모양체라는 곳에서 생성이 되어 

안구에 순환을 하면서 점차 밖으로 배출이 되는데 

이것이 어떤 이유로 많이 생성이 되면 

순환에 대한 균형이 무너지면서 눈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고 해요.

일반적으로 10mmHg ~ 20mmHg 정도일때 정상수치로 보고, 

21mmHg 이상일 경우 안압이 높다 라고 판단을 하는데, 

꼭 검사를 통해  수치를 재보지 않는다 하더라도 

갑자기 눈이 뻑뻑하거나 눈에 압력이 느껴지는 증상 등으로 인해 

아마 스스로 안구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느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안압이 높아질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있습니다. 

01. 눈이 뻑뻑하고 피로감이 쉽게 옵니다. 

02. 눈이 빠질듯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03. 눈에 열감이 느껴지거나 자주 충혈됩니다.
04. 눈이 침침하거나 자주 눈앞이 뿌옇게 보입니다.
05. 시야가 좁아진 느낌이 있습니다. 
06. 빛이 번져보입니다.
07. 어지러움증과 두통을 동반하기도 하며 속이 메스껍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일상생활속에서 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

안구 압력이 높을때 증상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안구건조증이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환경이나 스트레스, 신경에 이상이 있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데요. 

우리 눈은 평소에 항상 촉촉하게 젖어 있고 부드러운 상태로 압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렇든 여러 요인으로 인해 촉촉한 눈을 건조하게 만드는 것이 안구건조증으로, 

안구 압력이 높을때 증상이 있다면 인공눈물을 이용해 

항상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압 낮추는법입니다.

안구의 압력이 높아지는 이유로는 바르지 못한 식습관에도 있습니다.

안구 압력이 높아지는 증상이 자주있고, 지속된다면 

평소 식습관이 어떤지 되짚어 봐야 합니다. 

너무 짜고 맵고 자극적인 음식을 먹는 것은 아닌지, 

너무 고기 위주의 음식을 먹는 것은 아닌지, 

과도한 카페인 섭취 등 몸의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가 있는 음식들은 줄여야 합니다.

 평소 균형 잡힌 식단으로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안압 낮추는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매일 꾸준히 유산소 운동을 하시게 되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게 되어 혈관 건강을 지켜준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안압 낮추는법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직장인분들 아무리 바쁘시더라도 

일주일에 두번씩은 꼭 걷거나 뛰기를 통해서 눈 건강 지키시길 바랍니다!

수면 습관이 안구 압력과 무슨 연관이 있나?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평소 새우잠 자세로 주무신다거나, 엎드려 주무시는 분들의 경우 

눈에 무리가 가해져 안구 압력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엎드려 자는 자세가 심장에도 무리를 준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안구 압력 뿐만 아니라 목이나 척추, 다리에도 좋지 못한 자세이니 되도록 

천장을 향해 정자세로 누우시는 것이 안압 낮추는법에 좋답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가급적 줄이시고, 

줄일수가 없다면 중간중간 휴식시간을 갖고 

창밖을 본다던지 혹은 사무실이나 집 밖으로 나와서 먼거리의 건물이나 사물을 보시는게 좋습니다. 

혈액순환 촉진을 위해 눈 주변을 마사지 하는 것

안압 낮추는법에 좋은 방법입니다.

[한국스포츠경제]

눈 통증 안압 - nun tongjeung an-ab

질문=안압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안압은 안구 안쪽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합니다. 마치 혈압이 높고 낮아지는 것과 같이 눈에도 압력이 높아지고 낮아지는 것입니다. 보통 정상 안압은 평균 15mmHg이며, 두 눈의 차이는 3mmHg이하입니다. 10~20mmHg를 정상 안압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그 이상이 되면 높은 안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안압은 방수라는 물에 의해서 조절이 되는데, 방수는 홍채 뒤 모양체라는 조직에서 생성되며 순환을 통해 외부로 배출됩니다. 이러한 방수가 정상보다 많이 생성되거나 순환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안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당뇨병이나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경우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피로나 스트레스도 안압상승의 원인이 됩니다. 스테로이드 안약을 사용하면 안압이 일시적으로 상승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밖에도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컴퓨터, 스마트폰을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안압이 높아지면 눈이 무겁고 이물감이 생깁니다. 그리고 시력이 떨어지는 듯한 느낌이 들고, 자주 피로감이 느껴집니다. 뿐만 아니라 머리가 무겁고 심하면 두통 또는 구토까지 발생하기도 합니다. 안압이 상승되면 시신경이 손상돼 녹내장이 생길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녹내장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겨 시야가 좁아지거나 실명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안압이 상승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안압을 낮추는 방법은 안약을 점안하거나 안압하강제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무엇보다 평소 생활 속에서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술과 담배는 피하는 것이 좋고, 반드시 넥타이를 매야 하는 회사원의 경우 넥타이를 꽉 조여 매기보다 느슨하게 매는 것이 안압을 낮추는데 도움 됩니다. 스트레스와 과로 누적 또한 안압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휴식을 통해 해소시켜줘야 합니다. 또한, 수면자세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한 조사결과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쪽 안압은 16.2로 동일했으나 오른쪽 옆으로 누웠을 때 오른쪽 눈의 압력이 17.7로 상승했고, 오른쪽으로 엎어져 잤을 경우 19.4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안압을 위해서는 옆으로 자는 것 보다 똑바로 누워 자는 것이 좋습니다.

어두운 곳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TV 시청은 눈을 피로하게 만들어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어 피해야 하며, 만약 안압이 높아지는 듯한 느낌이 들면 가벼운 산책을 해주는 것이 안압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김부기 원장은 온누리스마일안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 진료 분야는 굴절교정(라식, 라섹, 스마일, 안내렌즈삽입술, 난시교정)

채준 기자

[한국스포츠경제 관련기사]

’차이나 머니를 넘어라’ 상암벌 몰려오는 中의 위세

英언론 “손흥민 토트넘 잔류, 기대감 여전하다”

수영 대표팀 감독, '몰카 파문' 선수단 관리 책임지고 사퇴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