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심장충격기 원리 - jadongsimjangchung-gyeoggi wonli

오늘은 자동심장충격기((구) 자동 제세동기,

AED)의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정지 원인 중 심실 잔떨림(세동)을

제거하기 위해 만들어진 의료장비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맥박이 없는 심실 빠른맥

(pulseless tachycardia)도 치료 가능하죠.

그럼 어떻게 치료가능한지 알아보면 좋겠죠?

아시겠지만 저는 간략히 설명드릴 겁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은

관련 전공서적을 찾아 이해하시면 됩니다.

자동심장충격기의 치료 과정을 이해하려면

간단한 심장 전기 생리와

심장 수축을 아셔야 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원리 - jadongsimjangchung-gyeoggi wonli

심장의 전기 전도로

제목은 거창하게 심장 전기 전도라 하였지만

내용은 단순히 전기가 전달되는

경로에 따른 수축 과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처음 전기 신호는 굴심방 결절

(SA(sinoatrial) node)에서 발생됩니다.

이후 전기는 심방 전도로(atrial pathways)

를 통해 우심방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고

동시에 바흐만 속(Bachmann's bundle)

으로 전달되어 좌심방

전기 신호를 전달하게 됩니다.

그리고 심방이 수축하게 되죠.

그다음 전기 신호는 심실로 가기위해

방실 결절(AV(atrioventricular) node)에 도달합니다.

그리고 히스 속(His bundle)을 지나

좌심실과 우심실로 나눠 전달하기 위해

전기 전도로도 좌우로 나눠지게 됩니다.

그래서 좌각(left bundle branch)

우각(right bundle branch)으로

전기가 흐르다 마지막 도착지인

퍼킨제 또는 푸르키네 섬유(Purkinje fiber)

까지 전달되면 심실이 수축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한 가지를 추가하면

심방과 심실이 동시에 수축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전기 신호는 바흐만 속으로 빨리 전달되고

방실 결절로는 비교적 느리게 전달됩니다.

그러므로 인해 심방이 수축하고

혈액이 심실로 이동하는 시간적 간격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거죠.

그다음 심실 내 혈액이 충만해지면

조금 늦게 도착한 전기 신호에 따라

심실이 수축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심장은 심방 한번, 심실 한번 수축하게 됩니다.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의성어 중

심장 뛰는 소리를 표현한 "두근두근"이

이를 매우 잘 반영하고 있죠.

"두근"하고 한번이 아니라 "두근두근"으로

심방 수축과 심실 수축,

2번 발생한다는 것을 잘 표현한 단어입니다.

2. 사이막 모서리 기둥(septomarginal trabecula)

자동심장충격기 원리 - jadongsimjangchung-gyeoggi wonli

Moderator band이 포함된 심장 전기 전도

여기에 추가적으로 우심실에서 발견되는

사이막 모서리 기둥(septomarginal trabecula) 또는 Moderator band라고

불리는 근육조직이 있는데

이는 우각의 전기 신호 중 일부를

앞쪽 유두 근육(anterior papillary muscle)

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사이막 모서리 기둥은

심실을 가로질러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에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앞쪽 유두 근육이 수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원리 - jadongsimjangchung-gyeoggi wonli

심장 내 유두근(papillary muscle)과 건삭(chordae tendineae) 그리고 심장 판막(tricuspid, mitral valve)이 이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심실 내에는 5개의 유두근(papillary muscle), 우측의 앞쪽(anterior), 뒤쪽(posterior), 중격(septal), 좌측의 앞쪽(anterior), 뒤쪽(posterior)이 있습니다.

이 유두근들은 건삭(chordae tendineae)

으로 심장 판막과 이어져 있죠.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먼저 도달한

전기 신호로 유두근들이 수축하게 됩니다.

심실이 수축할 때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심장 판막이 뒤집어질 수 있는

상황을 먼저 수축한 유두근이 저항하여

심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정상적인 심장은 전기 신호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심실 잔떨림 경우

정상적인 전기 신호로 외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그러니깐 원래 이 명령을 내리면

계급에 따라 각 지역의 귀족들이 움직였는데

갑작스럽게 이 귀족들이 서로 왕이라고

명령을 내리기 시작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전기 신호에 맞춰 하나의 세포처럼

심실 수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저기 중구난방으로 발생되는

다른 전기 신호에 심실 조직과 세포들이

따로따로 수축하는 것이죠.

이로 인해 순환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심정지가 발생됩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원리 - jadongsimjangchung-gyeoggi wonli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장 사이에 패드를 통해

전기 충격이 심장을 통과하도록 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은 곳곳에 날뛰고 있는

귀족들을 단번에 제압하는 것!

매우 강력한 한방이 필요하겠죠.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전기 충격,

그것이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강한 전기 충격을 가하게 되면

여기저기 봉기를 일으켰던 귀족,

즉 심장 내 여러 전기 신호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원래 전기 신호를 만들었던 왕인

굴심방 결절(SA node)이

다시 전기 신호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제세동의 전기 충격은

굴심방 결절의 전기 신호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제공한 후에는

즉각 가슴압박을 시작해야 합니다.

관련사이트: 대한심폐소생협회,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