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모음 글자들은 소리에 대한 고려뿐 아니라 철학적인 원리도 바탕으로 삼아서 만들어졌다. 모음들도 기본적인 모음과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파생적인 모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한글을 만든 사람은 당시 우리말의 기본 모음을 셋으로 보고 이것을 ‘ · ’, ‘ㅡ’, ‘ㅣ’로 나타내었다. ‘·’는 하늘의 둥근 모양을 상징하고, ‘ㅡ’는 땅의 평평한 모양을 상징하고, ‘ㅣ’는 꼿꼿이 서 있는 사람의 모양을 상징한다. 동양의 철학에서는 이 하늘, 땅, 사람을 3재(三才)라고 하여 만물의 근본 요소로 생각하는데, 모음 글자를 만들 때 이 생각을 적용한 것이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나머지 모음 글자들은 이 세 글자를 적절히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 · ’를 ‘ㅡ’ 위에 쓰면 ‘ㅗ’가 되고, ‘ · ’를 ‘ㅡ’ 밑에 쓰면 ‘ㅜ’가 되고, ‘ · ’를 ‘ㅣ’ 오른쪽에 쓰면 ‘ㅏ’가 되고 ‘ · ’를 ‘ㅣ’ 왼쪽에 쓰면 ‘ㅓ’가 되는 것이다. 현재는 ‘ㅗ’, ‘ㅜ’, ‘ㅏ‘, ‘ㅓ’가 마치 수평의 선과 수직의 선을 결합한 것과 같은 모양이 되어 있지만, 한글을 창제한 당시에는 정말 ‘ · ’ 와 ‘ㅡ’또는 ‘ㅣ’ 를 결합한 것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었다. ‘ㅛ’, ‘ㅠ’, ‘ㅑ’, ‘ㅕ’는 각각 ‘ㅗ’, ‘ㅜ’, ‘ㅏ’, ‘ㅓ’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 · ·’를 2번 썼다는 점이 다르다. ‘ㅛ’, ‘ㅠ’, ‘ㅑ’, ‘ㅕ’는 각각 ‘ㅗ’, ‘ㅜ’, ‘ㅏ’, ‘ㅓ’와 소리가 비슷하지만 앞에 반모음 ‘ㅣ’가 있는 2중 모음이라는 점이 다르다. 여기서 단모음과 2중 모음 사이의 관계가 모음 글자의 모양에도 평행하게 반영되어 있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이 모음 글자들 중 ‘ · ’는 현재 쓰이지 않는데, 그것은 이 글자가 나타내는 소리가 지금은 없어졌기 때문이다.
   기타 이중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들은 그 이중 모음을 구성하고 있는 모음 글자들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ㅗ’와 ‘ㅏ’를 결합하여 ‘ㅘ’를 만들고 ‘ㅜ’와 ‘ㅓ’를 결합하여 ‘ㅝ’를 만드는 식이다. ‘ㅐ’, ‘ㅔ’는 현재는 단모음이지만 한글이 처음 만들어진 때에는 /aj/ 정도의 음가를 지니는 이중 모음이었다. 따라서 ‘ㅏ’와 ‘ㅣ’를 결합하여 ‘ㅐ’를 만들고 ‘ㅓ’와 ‘ㅣ’를 결합하여 ‘ㅔ’를 만든 것이 매우 합리적이었다. ‘ㅚ’, ‘ㅟ’, ‘ㅒ’, ‘ㅖ’, ‘ㅙ’, ‘ㅞ’ 등도 한글이 처음 만들어진 당시에는, 글자 모양이 나타내는 것처럼 2중 모음 또는 3중 모음이었다. 현재는 이들이 단모음이나 2중 모음이 되어서, 글자와 소리의 관계가 한글 창제 당시만큼 투명하지는 않게 되었다.

   한글의 자음 글자와 모음 글자가 매우 체계적으로 만들어진 덕분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글을 매우 쉽게 배울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문맹률이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낮은 편인 것은 한글의 과학성에 힘입은 바 클 것이다.

   한글의 과학성은 디지털 시대에서도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에서 한글로 문자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입력 시스템을 생각해 보자. 자판의 키가 몇 개 안 되기 때문에 하나의 키에 둘 이상의 글자들을 배당해야 한다. 이때, 로마자의 경우 각 글자들이 나타내는 소리와 글자의 모양 사이에 아무런 상관성이 없기 때문에, 하나의 키에 배당되는 글자들도 아무런 공통점이 없게 된다. 반면에 한글의 경우 소리가 비슷하면 그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들의 모양도 비슷하기 때문에 하나의 키에 비슷한 글자들을 배당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덕분에 어떤 글자들이 어떤 키에 배당되어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고, 휴대 전화로도 한글을 매우 빠른 속도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한글은 1446년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백성들을 위해 만든 문자이다. 그리고 훈민정음 해례본에 한글 창제의 원리를 기록해 두었다. 그래서 한글을 글자 하나하나가 어떤 목적과 원리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다. 어릴 때 공부를 하다보면 엉뚱한 오기가 생길 때가 있었다. 예를 들면 밥을 왜 밥이라고 말해야 하는지 꽂히는 것이다. 그때 훈민정음 재자 원리를 알았다면 궁금증이 해결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우리말의 옛모습 - 문자와 말소리

우리 말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1. 초성

초성은 발음기관을 본더 만든 기본자와 기본자에 획을 더해 만든 가획자, 나란히 쓴 병서자, 마지막으로 가획과 병서의 원리로 만들어지지 않은 이체자가 있다.

① 기본자는 'ㄱ, ㄴ, ㅁ, ㅅ, ㅇ'가 있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떠 만든 것이다. 목젖이랑 가까운 부분의 혀를 입천장 쪽으로 올려 목구멍을 막고 소리를 내면 '그'하는 소리가 나는데 그 소리가 'ㄱ'의 소리이다. 이때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은 혀의 모습이 'ㄱ'과 비슷하다고 한다.

'ㄴ'은 혀 끝이 윗잇못에 붙는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혀 끝을 윗니 뒤쪽에 붙였다 떼면서 소리를 내면 '느'하는 소리가 난다. 그때 혀의 모양이 'ㄴ'과 같다.

'ㅁ'은 입이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입술을 딱 붙였다가 떼면서 소리를 내면 '므'하는 소리가 난다. 이때 입모양이 네모같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ㅅ'은 잇소리로 이빨을 붙이고 이~하는 모양으로 이빨 사이로 소리를 내면 '스'하는 소리가 난다. 'ㅅ'은 이빨의 모양이라고 한다.

'ㅇ'은 목구멍소리로 동그란 목구멍 모양과 같다. 혀, 이빨, 잇몸 어디에도 방해받지 않고 입을 벌리고 소리를 내면 '아'하는 소리가 난다.

② 가획자

가획자는 위의 초성 'ㄱ, ㄴ, ㅁ, ㅅ, ㅇ'에 획을 더해 만든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ㄱ'에 한 획을 그으면 'ㅋ'이 된다.
'ㄴ'에 한 획을 그으면 'ㄷ'이 되고, 거기에 한 획을 더 그으면 'ㅌ'이 된다.
'ㅁ'에 한 획을 그으면 'ㅂ'이 되고, 거기에 한 획을 더 그으면 'ㅍ'이 된다.
'ㅅ'에 한 획을 그으면 'ㅈ'이 되고, 거기에 한 획을 더 그으면 'ㅊ'이 된다.
'ㅇ'에 한 획을 그으면 'ㆆ'이 되고, 거게에 한 획을 더 그으면 'ㅎ'이 된다.

③ 이체자는 가획의 원리와 상관 없이 만들어진 글자로 'ㆁ, ㄹ, ㅿ'가 있다.

2. 중성

중성은 지금의 '모음'에 해당하는 글자이다. 중성은 천지인(天地人)을 형상화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기본자를 조합하여 초출자, 재출자를 만들고, 초출자와 초출자를 더한 합용의 원리로 나머지 글자를 만들었다.

① 기본자

기본자는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② 초출자와 재출자

초출자는 '기본자+기본자'로 만든 것이고
재출자는 '기본자+기본자+기본자'로 만든 것이다. 즉, 재출자는 초출자에 기본자를 한번 더 더한 것이다.

한글 모음 창제 원리 - hangeul mo-eum changje wonli

③ 합용의 원리

합용의 원리란 '초출자+초출자'로 만든 글자이다. 합용의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는 'ㅘ, ㅝ, ㅒ, ㅖ'가 있다. 이때 재출자와 재출자를 더하는 것은 안된다. 예를 들어 'ㆇ, ㆈ'와 같은 글자는 없는 글자이다.

3. 종성

종성은 아주 쉽다.

終聲復用初聲
종성부용초성

'종성은 다시 초성을 사용한다'라는 뜻이다. 즉 종성의 글자는 초성의 글자를 다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따로 공부할 필요가 없다. 야호!!

한글은 이런 원리로 만들어졌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한글이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었다고 한다. 1940년이 되어서야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고 연구를 통해 한글의 제자원리를 알 수 있게 된 것이라고 한다. 처음에 이 부분을 공부할 때는 한자도 많고 마냥 어렵기만 했는데 공부하다보니 신기하고 재미있는 부분이다. 열심히 정리해보았는데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

'투_함께쓰는 이야기 > 국어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feat.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의 제자원리, 창제원리)  (12) 2020.10.23
49. 꿈과 관련된 관용표현 정리 / 이루다, 해내다, 부지런함 관련 표현들  (7) 2020.10.22
48. 코와 관련된 관용표현들 정리  (18) 2020.10.11
47. 국어 관용표현 정리 ③ - 손과 관련된 관용표현  (20) 2020.09.28
46. 국어 관용표현 - 눈과 관련된 표현들 정리  (18) 2020.09.26
45. 신체부위 '목'과 관련된 국어 관용표현 정리  (10) 2020.09.24
44. 미(美)와 관련된 사자성어 / 미인과 관련된 한자성어 공부  (9) 2020.09.15
43. 사자성어 공부 - 우정과 관련된 사자성어, 관포지교 / 목불인견, 점입가경, 격화소양, 방약무인  (6) 2020.09.14
42. 사자성어 13일차 - 폐포파립, 포복절도, 망지소조, 발분망식  (12) 20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