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분위 84 대학 - baegbun-wi 84 daehag

이제 대학입시의 최대 관문인 대학 수학능력시험이 끝났습니다. 가채점이 완료되어 수험생들은 대략적인 본인의 점수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수시 모집도 그렇지만 정시 모집에 있어 수능 성적은 거의 절대적이라 할 만큼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정시 모집을 목표로 했던 수험생이라면 수능 등급은 어느 정도인지를 일단 확인하고 그에 맞게 지원 가능 대학을 알아 보아야 하겠습니다.

백분위 84 대학 - baegbun-wi 84 daehag

수능 성적도 수시 모집에 있어 비중이 큰 내신과 마찬가지로 9등급으로 세분화됩니다. 성적 비율은 내신과 거의 같으나 비율은 조금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비율은 상위 누적 백분위로 구분하여 1등급은 상위 4%(백분위 96), 2등급 상위 11%(89), 3등급 23%(77), 4등급 40%(60), 5등급 60%(40), 6등급 77%(23), 7등급 89%(11), 8등급 96%(4), 9등급 100%입니다. 3등급의 경우 내 밑으로 77%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성적표에는 백분위도 함께 표시됩니다.

수능 등급제는 도입 이후 지금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제 도로 보완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불만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굳건한 대학 서열화와 사교육비 상승 부담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인데 정시 비중이 확대될 예정이라 수능 시험을 둘러싼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습니다. 한때 등급만 표시했던 시절도 있었는데 큰 논란을 일으키며 현재와 같이 수능 성적표에 표준점수, 백분위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정착되어 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백분위 84 대학 - baegbun-wi 84 daehag
등급 백분위
백분위 84 대학 - baegbun-wi 84 daehag

주요 대학 평균 백분위,등급


수능 국수영탐 과목 백분위로 살펴 보면 서울대는 97.5~98.07, 연세대 96.76, 고려대 96.71로 거의 최상위권 부동의 1등급 대학들입니다.

뒤를 이어 성균관대 95.6, 서강대 95.2, 한양대 94.7~95.1, 이화여대 95, 중앙대 94.3~94.7, 한국외대 93.1, 경희대 90.8~93.0, 서울시립대 91.1~93.0입니다. 건국대는 89.5~91.76, 동국대 89.1~91.3, 홍익대 90.7~91.0, 숙명여대 88.7~89.1 정도입니다. 등급 기준으로 상위 10위권 대학은 1등급 중후반대, 11~15위권은 2등급 초반대로 보면 되겠습니다.

백분위 84 대학 - baegbun-wi 84 daehag

수능 3등급 원점수, 표준점수


수능이 끝난 후 각 입시 기관별로 일제히 수능 과목별 예상 등급컷을 발표했습니다. 수능 등급별로 점수를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예상 3등급 컷으로 알아 보면 원점수 기준 국어 71~75점, 수학 가형 73~77점, 수학 나형 72~76점입니다. 영어 3등급은 70점 이하입니다. 사탐, 과탐도 선택과목별로 차이가 있으나 3등급대는 38~45점 정도입니다.

성적표에 표시되는 표준 점수도 중요한 요소로 상위건 주요 대학에서 활용하는 것은 표준점수와 백분위입니다. 표준 점수 기준으로 3등급 대 점수를 보면 국어는 117점, 수학 가형 118점, 수학 나형 118점, 탐구 과목 59~60점대입니다. 백분위는 77~88%대입니다. 이 정도를 맞았다면 성적표에 표시되는 등급은 3등급일 것입니다.

백분위 84 대학 - baegbun-wi 84 daehag
수능 성적표에는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만 표시된다.

수능 3등급 지원 가능 대학


3등급대 점수도 성적이 낮은 점수는 아닙니다. 그러나 주요 상위권 대학을 노렸다면 이 점수대로는 지원이 어렵습니다. 특히 인서울 주요 15개 대학은 등급 기준으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백분위로는 89% 이상, 수능 등급도 2.2 등급 이내에 들어야 합니다.

3등급대 백분위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77~88%대에 해당되며 상위 23%에 해당됩니다. 3등급 점수대에서 지원 가능한 대학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는 한국산업기술대, 서울여대, 동덕여대, 덕성여대, 총신대, 삼육대, 한성대, 서경대, 성공회대, 경기대, 명지대, 가톨릭대, 수원대, 인천대, 강남대, 가천대, 을지대 등이 있습니다. 지방 대학, 분교로는 연세대(원주), 고려대(세종), 중앙대(안성), 한국외대(글로벌), 충남대, 충북대, 경북대, 부경대, 영남대, 전북대, 동아대, 조선대, 울산대 등이 3등급대 지원 가능한 대학들입니다.

백분위 84 대학 - baegbun-wi 84 daehag

3등급대 지원 가능 대학을 열거하기는 했지만 모집단위, 학과별로 합격선이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보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해당 대학별로 3등급 이상의 성적이 있어야 되는 학과도 있고 낮은 점수로도 노려볼 수 있기도 합니다.

이상과 같이 주요 대학 백분위, 등급, 수능 3등급 대 지원 가능한 대학에 대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대학 지원에 도움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시험정보(TEST) N 교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 국가고시센터 발표 2021년 국가직 공무원 채용인원, 원서접수, 시험일정 확인  (0) 2021.01.04
2020/2021 수능성적 발표일, 수시합격자, 정시합격자, 추가합격자 발표일 확인  (0) 2020.12.21
2021년도 주요 인서울 대학 정시 합격선, 점수 예상 알아보기  (0) 2020.12.06
2021 국가장학금 1학기 신청기간 자격, 소득분위기준, 2차 지급일, 지원 금액  (0) 2020.11.24
9급공무원 시험과목 개편 관련 알아야 할 내용, 시험제도 개편 시기  (0) 2020.10.18

안녕하십니까 광명시 입시컨설팅의 PIONEER

마이엠 에듀케이션입니다.

오늘은 재미있는(?) 내용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수험생들은

"서연고서성한이중경외시건동홍숙..."

으로 통상적으로 불리는

대학서열 또는 대학순위에 익숙합니다.

실제로 매해

대학별 입시결과,

특히 수능으로 판가름나는 정시에서는

이러한 순위(?)가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수능을 응시하는 N수생의

절반가량이 처음으로 진입하는

다음주 6월 학평은

자신의 정시 가늠자역할을 하고,

수시 지원대학라인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시험인데요,

그래서!

수능에서 몇개 틀려야

정시로 인서울대학에 진입할 수 있는지를

정리해봤습니다.^^

사실,

각 대학들의 정시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대학마다 표준점수, 변환표준점수, 백분위 등

수능 활용지표가 다르고

수능 영어도 반영방식이 다르고,

대학별/계열별/모집단위별

수능 영역비중도 다르고,

가산점, 교차지원 등

상황이 제각각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저희

광명시 입시컨설팅의 PIONEER

마이엠 에듀케이션은

'평균백분위'를 기준으로

집계를 해보았습니다.

백분위 평균이라고도 하는

평균백분위(이하 평백)는

국어 수학 탐구 2과목의 백분위를

합한 값을 4로 나눈 값으로,

대략적인 대학라인을 가늠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수험생이

국어 백분위 92%,

수학 백분위 88%,

탐구1 백분위 89%,

탐구2 백분위 90%이 나왔다면

그 학생의 평균백분위는 89.75%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대락 정시 건동홍숙 라인이 되겠네요

(수능 잘봤다..)

그럼 결과를 알아볼텐데요,

먼저 아래 일러두기를 꼭!! 먼저 읽으신 후

결과표를 봐주세요~!

<일러두기>

▶ 2019학년도 6개 기관 실채점 배치 평균.

2019학년도 실제 정시 결과가 아닌

6개 입시기관의 2019학년도 정시 실채점 배치표를

대학별로 평균을 내어 정리한 결과입니다.

(입시기관 배치표는 중경외시라인까지는 비슷한데,

그 이하 내려가면 기관별로 차이가 커요..

백분위 13정도 차이나는 학과도 있음..)

▶ 인문: 국수(나)사탐(사문,생윤) 기준,

자연:국수(가)과탐(생I,지I) 기준,

서울대 과탐: 지I/생II 기준.

수험생마다 탐구과목의 선택이 다르고

대학마다 교차지원을 열어두는 경우가 많은데요,

통꼐의 일관성을 위해

인문계열은 수학(나),

자연계열은 수학(가)

탐구는 가장 많이 선택하는 과목,

서울대는 탐구가 서로 다른 I,II 라

위와 같이 일괄 설정한 후 정리했습니다.

▶ 틀린갯수: 국수탐 각 3점짜리 문항 기준.

사실 이번 자료는

고3 수험생보다는 고1, 고2 수험생들의

각성(?)을 위해 만든 자료인데요,

정시올인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려주어

막연한 희망고문(?)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어느 한과목에 강약점을 보이지 않고,

골고루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 학생을

가정하여 산술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틀린 갯수가 12개라면

국어 수학 탐구1 탐구2 과목에서

각각 3점짜리 문항을 3문항씩 틀린 것입니다.

2점짜리, 수학 4점짜리를 틀린 학생은

가감하여 계산하면 좋을 듯 합니다.

(물론 수학은 4점짜리 틀리는 경우가 더 많죠)

▶ 의치한수 교대 이공계특성화대학 제외

정시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교육대학,

이공계 특성화대학(카이스트, 지스트 등)은

제외하여

대다수의 수험생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가공했습니다.

▶ 평백에 의한 단순배치임.

다시 강조드리지만

활용지표/영역비중/가산점/교차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입니다.

대략적인 라인잡기로 활용하세요.

또한!!

대학 레벨(?)이 내려갈수록

인기학과와 비인기 학과의 입결편차가

매우 큰 경우가 많으므로 단순참고바랍니다!

그럼 결과표를 보여드릴게요!

대학은 광명시를 비롯한

서울 및 수도권 수험생들이

대부분 지원하는

인서울 및 경인권 주요대학,

주요 국립대를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본분교 체제가 아닌 이원화 체제의

대학들도 있지만

캠퍼스별 입결차이가 유의미한 경우는

임의로 분리해서 정리했습니다.

<수능 평균백분위로 바라본 주요 대학>

잘 보셨나요?

본 자료는

대학서열화를 조장하기 위함이 아닌

고1, 고2 학생들의 대오각성(?)을

위해 만들어졌음을 다시 한번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가장 깔끔하고 객관적인 시험인

수능만으로 대학을 가려면!

정말 확실히 접근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모두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