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우제 지내는 시간 - sam-uje jinaeneun sigan

삼우제를 어떻게 치러야 할지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십니다. 오늘은 삼우제의 정확한 의미와 어원, 상차림 방법과 상차림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삼우제란?

삼우제란 장례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를 뜻하는 말입니다. 장례를 지낸 뒤 망자를 위로하기 위한 제사를 통틀어 '우제'라고 하는데 처음 지내는 우제를 '초우제', 두 번째 지내는 우제를 '재우제', 그리고 세 번째 지내는 우제를 '삼우제'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초우제, 재우제를 생략하고 장례 후 3일째 되는 날(돌아가신 날 포함) 삼우제를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초우제와 재우제는 망자의 생전 집에서 지내는 반면에 삼우제는 처음으로 묘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만약 망자를 화장한 경우 납골당에서 삼우제를 지냅니다.

삼우제를 지내는 방법으로는 우리나라 사례편람에는 일정한 순서가 지정되어 있지만, 제사를 지내는 가족이라면 집에서 제사를 지내는 순서와 방법을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 삼우제 지내는 날

장사 지낸 첫날 초우제, 그 뒤 유일(柔日, 육갑의 십간 중에서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가 들어간 날), 삼우제는 재우제 뒤의 강일(剛日, 육갑의 십간 중에서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이 들어간 날)에 지낸다고 합니다.

※사십구재와의 차이

사십구재는 장례를 치른 지 49일째 되는 날 지내는 불교 의례입니다. 상차림이나 제사 지내는 방법은 49제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삼우제는 간소하게 그러나 49제보다는 정성스럽게 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오제로 알고 계신 분도 있습니다. 삼오제는 잘못된 표현이며 삼우제가 맞는 표현입니다.

2. 삼우제 상차림, 삼우제 음식

삼우제 지내는 시간 - sam-uje jinaeneun sigan
삼우제 상차림 예시

과거에는 삼우제 상차림도 일반 제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약소하게 음식들을 준비해 제사를 지내는 것이 일반화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망자를 향한 정성이 지극하여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시는 분이 있을 수 있으니,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일반 제사상차림까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림을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1열에는 밥과 국, 그리고 술잔을 놓습니다. 이때 밥과 술은 서쪽, 국은 동쪽, 그리고 접시는 가운데 놓습니다.

2열에는 구이와 전을 놓습니다. 이때 '어동육서'라고 해서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습니다. 

3열에는 국과 탕을 놓는데요. 탕은 국물은 적게 담고 건더기는 수북하게 담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4열에는 나물이나 김치 같은 밑반찬을 놓아주시면 됩니다.

5열에는 과일을 놓는데 '조율이시', 혹은 집안의 전통에 따라 '조율시이'로 올리면 됩니다. '조율이시'란 서쪽으로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대로 제사상차림 하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과일들은 '홍동백서'에 따라 상차림 하면 됩니다. '홍동백서'란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묘지 앞에서 완벽하게 삼우제 상차림 음식을 준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약소하게 음식들을 준비하시려는 분들은 1열과 5열만 하시는 경우도 있고, 간단히 5열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에는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을 한 두 가지 함께 올려주시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3. 삼우제 상차림에서 주의할 점

  • 붉은 양념이 들어간 음식은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마늘과 고춧가루가 고인을 쫓아내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 짜거나 매운 양념은 피하고 좀 심심하게 음식 간을 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귀신을 쫓아내거나 액운을 몰아내기 위해 소금을 뿌리는 행위 같은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 팥과 복숭아 같은 음식도 귀신을 쫓는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치'로 끝나는 생선도 사용하지 않으시는 게 좋습니다. 보통 꽁치나 갈치처럼 치로 끝나는 생선은 저렴한 생선으로 취급되며 삼우제 상차림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삼우제란?

삼우제 지내는 시간 - sam-uje jinaeneun sigan

■ 삼우제의 유래

삼우제의 “우”는 헤아리다. 근심하고 걱정하다. 염려하다. 라는 뜻을 가진 말로서 삼우제의 의미는 고인이 돌아 가시면 저승으로 가야하는데, 미련이 남아 저승을 못가고 북망산천을 방황 할까 봐 제사를 지낸 후 달려서 보낸다는 의미로서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입니다.

■ 삼우제의 의미

삼우제는 장사를 지낸 뒤 세번째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날짜 수에 따라 삼우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유일 강일을 잘 따진 후 지내는 첫번째와 두번째, 세번째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요즘은 통상 발인 후 이틀 뒤에 묘지(봉안당)를 찾아가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월요일 발인했다면 삼우제는 수요일에 지내며, 시간은 보통 오전에 지내게 됩니다.

우제는

① 초우 : 발인 후 매장 또는 봉안당 안치 후 당일 집에 돌아와서 지내는 제사로 시신을묻고나서 마음이 염려되고 걱정되어 지내는 것으로 “초우제”라고 하며, 이 초우부터 정식으로 제사를  지내는 것입니다.

② 재우 : 초우를 지낸 다음 첫 유일(柔日)이 되어 지내는 제사이다. 원래는 초우제를 지내고 난 다음날, 또는 그 하루 거른 다음날 아침에 지내는 것이었지만 보통은 초우제를 지낸 다음날 아침에 지낸다. 제사를 지내는 법은 초우제와 같다.

 (천간인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중, 갑, 병, 무, 경,임이 간지에 들어가는 날은 양(陽)에 속하는 날입니다. 일반적으로 강일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천간인 을, 정, 기, 신, 계가 간지에 들어가는 날은 음(陰)에 속하는 날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일이라고도 합니다.)

③ 삼우 : 삼우제는 재우를 지낸 후 강일에 묘지(봉안당)를 찾아가 지냅니다.

그리고 “삼오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올바른 표현은 “삼우제”가 맞는 표현입니다.

■ 삼우제의 복장

복장은 장레식 같이 검정색 정장, 검정색 한복을 반드시 입을 필요는 없습니다. 단정한 옷차림이면 됩니다.

■ 삼우제의 상차림

요즘은 삼우제 상차림도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으며, 간소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과일, 건어물, 육적, 편(떡),  술등이 있으면 됩니다.

음식을 준비하는데 주의 사항으로는

- 붉은 양념 사용 X

- 향이 강한 양념 사용 X

- '치'로 끝나는 생선 사용 X

- 짜거나 매운 양념 X

- 간은 심심하게 사용

- 털 있는 과일은 사용 X

■ 기독교인으로서의 삼우제

“삼우제”란 유교에서 시신을 매장한 뒤 죽은 자의 혼이 방황할 것을 염려하여 편안히 모신다는 의미에서 지내는 제사를 가리키는 말로서 부활과 내세를 믿는 기독교의 신앙(교리)과는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성도는 분묘가 잘 조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고인이 남긴 신앙 유산을 되새겨본다는 측면에서 산소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그리고 굳이 장례 후 3일이 아니라도 유족이 함께할 수 있는 편리한 시간을 택하는 것도 좋다.

삼우제 지내는 시간 - sam-uje jinaeneun sigan

삼우제의 의미와 철차, 삼우제상차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잘몰랐다가 2015년에 어머니가 돌아가시면서 장례절차를 알게되었습니다.

관심을 가지고 알아보다보니 이런 포스팅까지 작성하게 되었네요.

삼우제 유래

삼우제(三虞祭)의 '우(虞)'는 헤아리고 근심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세상에 미련이 남은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입니다.

삼우제 의미

쉽게 말씀드리면 장례 후 지내는 첫 성묘로 장례를 치른 후 3일째 되는날 묘지를 방하여 지내는 제사입니다.

정식으로는 유일이나 강일이라는 것을 잘 따진 뒤에 지내는 세번째 지내는 제사를 말하는데, 요즘은 통상 발인 후 이틀 뒤에 묘지(봉안당)를 찾아가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 유일은 음(陰)에 속하고, 강일은 양(陽)에 속하는데, 재우(再虞)에서 육우(六虞)까지는 유일에, 칠우(七虞)와 졸곡(卒哭)은 강일에 지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실 예전처럼 유일과 강일을 따져서 삼우제를 지내려면 사일에서 오일을 걸려 삼우제를 치를 수 있습니다.

또한 요즘은 삼우제를 탈상이라고 표현하는 분들도 대부분입니다.

또다른 의미로 삼우제는 장례를 치르고 세번째 지내는 제사로 집이 아닌 곳에서 치르는 첫번째 제사입니다.

요즘은 장례식장에서 상을 치르기 때문에 발인 후 첫번째 지내는 제사가 될 것입니다.

삼우제를 치르기 전에 초우제와 재우제를 지내게 됩니다.

장사 당일에 지내는 초우(初虞)라고 하고, 장사 다음날 지내는 제사인 재우(再虞)라고 합니다.

전통방식으로 지낸다면 재우제는 유일에 치뤄야하는데 요즘은 이를 따르지는 않습니다.

삼우제는 삼오제로도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단어는 잘못 표현된 것이기 때문에 삼우제로 사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삼우제 복장

복장은 장례식과 같이 검은색 정장이나 검은색 한복을 꼭 입을 필요가 없이 단정한 옷차림이면 됩니다.

삼우제상차림

요즘은 삼우제상차림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고, 간소화되고 있는 추세로 과일, 건어물, 육적, 편(떡), 술 등이 있으면 삼우제상차림은 갖추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삼우제상차림은 일반적인 제사상을 차릴때 주의사항과 크게 다른점은 없습니다.

팥이나 복숭아의 경우는 귀신을 쫓는 것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에 제사상에는 올리지 않는 것들입니다.

유래를 설명하자면 복잡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략하겠습니다.

그리고 상차림의 음식은 주의사항에 있는 내용 이외에는 어떤 격식을 갖추고 어떤 음식을 내놓는 것 보다 고인이 평소에 즐겨먹거나 좋아하시던 음식을 중심으로 준비하셔도 됩니다.

술은 보통 정종을 사용하지만, 소주, 막걸리 등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으십니다.

저의 어머니의 경우 살아생전에 불교신자셔서 삼우제와 함께 절에서 49재를 드렸니다.

평일날은 절에 갈 수가 없어서 집에서 불공을 드리고, 주말에는 절에서 불공을 올렸습니다.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다보니 어머니께서 세상을 참 잘 살아오셨구나 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불공에 동참하시면서 슬퍼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저도 마음을 다잡고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자식으로서 부모님의 장례는 반드시 겪어야할 것이지만, 미리 알아두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물론 겪고싶지 않은 경험일 것이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