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네트워크 기초 상식

안녕하십니까?

파이버몰 담당자입니다..!

제가 여러 고객님들과 전화로 상담하는 내용중 70% 이상이 광을 이용한 네트웍 구축시 필요한 광케이블 종류, 장비선정에 어려움을 가지시는 고객들의 상담이 많습니다!
광을 이용한 네트웍 구축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많이 접해 보지 못한 생소함에서 생기는 두려움이 더 크겠지요!
전화상담중 대다수의 분들이 UTP(cat 5) Cable을 이용한 네트웍구축에 경험이 많으신 분들이 많았고 광을 이용한 네트웍 구축도 기존의 UTP Cable 로 구축된 네트웍에 광을 적용 BackBone 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광을 이용한 네트웍 구축은 전송거리의 대혁신, 데이터손실율 없이 통신이 가능하며, 차후 확장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광을 이용한 네트웍구축시 필요한 자재 장비를 기초적인 사용 용도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한번쯤 읽어보시면 초보자들도 이해가 쉽고 광을 이용한 네트웍 구축제안에 도움이 되고자합니다!

-> 1) 광 케이블(Fiber Optic Cable)

-> 2) 융착 작업

-> 3) FDF(OFD)작업

-> 4) 장비선정

:: 컨넥터 타입

SC Type

LC Type

FC Type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ST Type

MTRJ Type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1) Fiber Optic Cable

광을 이용한 통신은 기본적으로 2Core 을 이용합니다.(RX-1CORE, TX-1 CORE) 그러므로 2Core의 광 케이블이 기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방식을 이용하면 1 Core 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지만, WDM 방식은 나중에 설명드리겠습니다.

* 케이블선정

광케이블 선정에있어서 가장중요한 요인은 통신거리에 있습니다.
멀티모드 케이블은 최대전송거리 2Km, 싱글모드케이블은 기본적으로 장비의 종류에따라 전송거리를 제공하므로 전송거리가 2Km 이상일때 구성되는 케이블입니다.
그러므로 케이블 선정은 통신거리,사용 노드수, 차후 증축또는 단선등으로 발생할수있는 통신단절에대비하여 케이블의 코어수를 선정 초기포설시에 감안하시는것이 차후 비용절감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같은 종류의 케이블이지만 포설되는장소에따라 옥내용,옥외용으로 구분이 되어지며 실외로포설시는 옥외용케이블을 실내에 포설시는 옥내용케이블을 사용하면됩니다,그러나 굳이실내,실외로 구별하여 고집할필요는없고 제안자의 판단여하에의하여 작업환경을 고려 케이블선정을하는것도 무방합니다.

옥내용 Cable

옥외용 Cable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옥외용과 옥내용의 차이는 크게 옥외용의 케이블은 보호 피복이 두껍고 안에 중심인장선이 박혀있어 강인한 인장강도를 제공하므로 포설시 관로삽입등에 용이하고 옥내용은 철심이 없으며 케이블이 부드러워 관로 삽입에 불리하나 넓은 관로포설시에 쉽게 포설을 할 수 있으며 융착작업이 용이 합니다!


2) 융착작업

융착작업은 포설이 완료된 케이블의 끝단에 컨넥트를 접속시키는 작업입니다.
포설된 케이블의 끝단에 바로 컨넥트를 접속하는 것이 아니고 피그테일을 이용 포설된 케이블의 끝단과 피그테일의 끝단을 광 접속 기계를 이용하여 녹여 붙이는작업.
융착비 산출은 접속수(1코어 접속을 1개의 접속으로봄)에 따라 달라지며 기본출장비는 따로 산출이 됩니다!

>>융착접속시 필요한자재

융착접속기

본장비는 고가의 장비로 개인이나 규모가 작은 업체에서는 소유? 하기는 어려우며 광 공사를 전문으로하는 공사 업체들이 보유하며 대부분 융착접속은 업체들에게 접속비 및 출장비를 지불하여 위탁접속대행을 합니다.
본사는 2팀의 접속 팀을 직접 운영하고 있습니다

O.T.D.R 테스터기

본 장비는 융착접속후 끝단의 컨넥테에 본장비를연결 포설된케이블의길이측정및 빛 손실율 등을 측정하여 융착접속후 접속성공 여부및통신망 이상유무를판단하는계측기입니다
접속후 본장비로 측정한값의 데이터를 리포트로작정 의뢰인 또는 발주자에게 검수 자료로제출합니다.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PIG Tail :
한쪽끝단에는 컨네트가 접속되어 있고 반대쪽은 컨넥트가 없는오픈된 형태의 융착접속시 사용되는 1 코어 1.5M 광케이블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융착 접속 과정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융착접속기에 케이블이 고정된모습

고정된케이블이 자동으로 양쪽케이블의 코아부분을 정열합니다

두개의 전극봉이 용접으로 녹여 접속합니다.

접속완료된 모습입니다

접속이 완료되면 열수축 슬리브를 이용하여 접속 부위를 보호할수 있도록 열로 수축 시켜 줍니다.


3) FDF(OFD)작업

FDF 는 접속합체로서 UTP Cable을 이용한 네트웍구축시 사용되던 패치판넬의 역할을 광쪽에서는 FDF가 수행한다고 보시면됩니다.
포설된 케이블에 컨넥트 접속을 하고 나면 접속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철재로 만든 함체속에 케이블을 정리하여 보관하게되며 끝단의 컨넥터는 함체정면에 붙어있는 아답터에 삽입되며 아답터는 양쪽이 암/암 으로 되어 있어 반대쪽 아답터 구멍에 점퍼코드를 삽입 하여 장비간에 연결을합니다.
광 아답터는 패치판넬에 끼우게 되는 RJ-45모쥴과 같은 역할을 하며 점퍼코드는 패치판넬과 허브를 연결하는 패치코드의 역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FDF

OFD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4) 장비선정

장비선정은 포설된 케이블의 종류에따라 멀티모드용,싱글모드용으로 크게 구분이됩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을 이용한 장비 간의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UTP로 구축된 네트웍그룹 또는 산업용제어시스템과 장비간의 BackBone 역할로 주로 사용되므로 광컨버터(FX or GIGABIT )를 주로 사용하여 구축을 하게됩니다…

광컨버터는 기존의 UTP Cable을 사용하는 네트웍 신호를 광 신호로 바꿔 주는 역할을합니다… 필요한 코어수(RX-1 Core ,TX-1 Core)는 2Core 을 사용합니다..
포설된 2 Core 의 양단에 컨버터 1개씩을 사용하여 통신을합니다…
그러므로 한곳의 BackBone용 장비에서 여러 클라이언트로 분산이되면( 분산되는 곳의수량) X 2 만큼의 코아수의 케이블을 포설해야 합니다..

>> 광 컨버터

10/100-TX To 100-FX 광 컨버터
(멀티모드, 2Km전송용)

100-FX(Single Mode) To 100-TX 컨버터
(싱글모드, 30Km 전송용)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RS232 To 광 컨버터

WDM 광 컨버터
(싱글모드 , 1Core 사용)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컨버터의 종류로는 멀티모드,싱글모드,기가바이트용, ATM용 등으로 크게구분이됩니다.
그밖의 광에서 시리얼,광에서 영상신호 등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등도 사용되지만 이 장비들은 특정 용도에 맞게 사용되므로 통신장비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구성도는 싱글모드 광컨버터를 사용하여 30Km 의 전송거리를 구축한예입니다.
멀티 모드도 같은 구성도를 가지며 단 전송거리 2Km 이내 컨버터는 멀티모드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포설된 케이블은 멀티모드용 케이블이 포설되어 있어야 합니다.

:: 구성도 예제1.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방식 컨버터

WDM 방식컨버터는 기존의 2코어(RX,TX) 방식의 통신을 1 코어로 가능하게 만든 컨버터입니다.

:: 구성도 예제2.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 광 허브

광허브는 광컨버터와 UTP Switching Hub 를 합하여 놓은 장비라고생각하시면됩니다.

5 Port Hub(4-T ,1-FX)

5 Port Hub(4-T ,1-FX)Maneged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Redundant Managed (리던던트)

리던던트 방식은 네트웍망을 이중화로구현 한쪽망에 장애가 발생할경유 다른쪽망으로 자동으로 변환 네트웍망을유지시키는 방식입니다..
물론 리던던트용 광컨버터 또는 광허브를 사용하여 구축합니다.
현재는 네트웍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안정된 망구축이 요구되며 스토리지(저장),보안,과 더불어 소규모 네트웍망에도 도입이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 기가비트(GIGABIT)

기가비트방식은 기존의 100Mbps-TX 또는 100MㅡFX 의 전송속도로 통신하던 방식을 기가급(1000Mbps)으로 향상된통신속도를구현합니다.
기가급장비는 크게 광 컨버터와 GBIC 모쥴을 탑재할수있는 장비로 나누어집니다.. 현 추세는 GBIC모쥴을 탑재할수있는 스위칭 허브로 구축되는 방식을 많이 채택합니다.

기가비트 광 컨버터

사용 예제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GBIC Module 탑재용 스위칭허브

GBIC

SFP(MINIGBIC)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광케이블 코어 수 - gwangkeibeul ko-eo su

기가비트는 전송거리로 SX(멀티모드) LX(싱글모드)로 구분합니다.

SX(멀티모드)는 기존 멀티모드용 광 케이블로 구성시( 62.5 /125um) 의케이블에서는 최대 220M, (50/125um) 의 케이블을사용시에는 최대 550M 전송 가능합니다.!

LX(싱글모드)는 기존 싱글모드용 광케이블로 구성시 (9/125um) 광컨버터나 GBIC Module 의 종류에따라 전송거리가 달라집니다.
기본적으로10Km,그 이외에도 20Km,30Km,50Km,80Km 등 생산업체별로 조금씩 차이가납니다.

지금까지 기초적인 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물론 실정에 맞는 네트웍구축 제안에 필요한 장비들의 소개는 미미하나 기초지식이 없는 분들에게 소개목적으로 작성한 문서이므로 보다 나은 자료를 원하시면 저의 파이버몰 게시판이나 메일로 문의하여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