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 guggabyeol onsilgaseu baechullyang tong-gye

  • [지표해석]

    ■ 국가 온실가스 배출 현황

    ㅇ 2018년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27.6 백만톤CO2eq.으로 1990년 대비 149.0%, 전년대비 2.5%(17.9백만톤CO₂eq.) 증가

          - (분야별 비중) 총배출량 대비 에너지 86.9%, 산업공정 7.8%, 농업 2.9%, 폐기물 2.3%

          - (가스별 비중)  이산화탄소(CO₂)가 91.4%, 메탄(CH₄) 3.8%, 아산화질소(N₂O) 2.0%,

                                  수소불화탄소(HFCs) 1.3%, 육불화황(SF6) 1.2%, 과불화탄소(PFCs)  0.4%

    ㅇ (원단위)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은 전년대비 0.4% 감소한 402 톤CO2eq./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최저치이며, 인구당 배출량은 2.0% 증가한 14.1 톤CO2eq./명

    ■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요인

      ㅇ (증가) 1) 공공 전기‧열 생산(17.0 백만톤, 6.7%), 2) 화학(5.3 백만톤, 13.1%), 3) 중전기기(2.2 백만톤, 83.7%),

                     4) 반도체 ‧액정(0.9백만톤, 14.3%)

         * 1) 발전량 증가(3.1%), 2)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2.9%), 3) 중전기기 폐기량 증가(433%),

            4) 반도체·액정 공정가스 구입량 증가(PFCs 27%, HFCs 32%)

      ㅇ (감소) 1) 철강(-4.2백만톤, -4.2%), 2)제조ㆍ건설업/기타(-1.6백만톤, -3.9%), 3) 시멘트생산(-1.6백만톤, -6.3%)

         * 1) 제철용 유연탄 소비감소(-4.6%) , 2)비금속 업종 연료탄 소비감소(-11%), 3) 클링커 생산량 감소(-6%)

  • 온실가스 배출 순위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기준전망 및 목표수요 계획 그래프에 대한 데이터 표입니다.

    년도중국미국인도러시아일본독일이란대한민국인도
    네시아
    캐나다사우디
    아라비아
    브라질남아공호주튀르키예
    순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990 2,088.9 4,803.0 530.1 2,163.5 1,051.8 940.0 171.2 231.8 131.1 409.3 151.1 184.8 243.8 259.5 128.8
    2018 7,830.6 5,352.0 1,572.1 1,529.2 1,132.9 758.8 498.6 550.9 391.7 526.3 418.2 374.4 420.3 391.8 267.8
    2019 9932.1 4744.4 2277.6 1640.3 1048.3 645.4 578.7 587.2 571.1 556.8 498.1 411.0 441.1 389.4 366.4
    2020 10081.3 4257.7 2075.0 1551.6 989.6 590.0 568.0 546.8 532.2 508.1 483.6 388.8 388.1 374.2 366.6
    1990~2020년 연평균증감율(%)0.05 0.00 0.05 -0.01 0.00 -0.02 0.04 0.03 0.05 0.01 0.04 0.03 0.02 0.01 0.04
    2019~2020년 증가률(%)1.5 -10.3 -8.9 -5.4 -5.6 -8.6 -1.8 -6.9 -6.8 -8.7 -2.9 -5.4 -12.0 -3.9 0.0

    ※ 출처 :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2021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 guggabyeol onsilgaseu baechullyang tong-gye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44538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323 (우정동 528-1)대표전화 : 052) 920-0114

    Copyright ⓒ 2021 Energy GHG Total Information Platform Service. All Rights Reserved.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구축

    배경 및 근거

    •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제4조 1항 및 12조에 의거하여 대한민국은 매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인벤토리를 작성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5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36조에 따라, 분야별 관장기관은 해당 분야 온실가스 통계를 매년 6월 30일까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GIR)에 제출
    • 국가 온실가스 통계 총괄 관리에 관한 규정 제16조(국가 온실가스 배출 · 흡수 계수의 개발 · 검증)에 따라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산정체계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 guggabyeol onsilgaseu baechullyang tong-gye


    통계작성 지침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하여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매년 국가 온실가스 통계 산정·보고·검증지침 제공

    •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 Good Practice Guidance and Uncertainty Management i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우리나라의 2018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27.6백만톤CO2eq.이며, 1990년도 292.2백만톤CO2eq.에 비해 149.0% 증가하였고, 2017년도 총배출량인 709.1백만톤CO2eq.보다 2.5% 증가하였습니다. 2018년도의 총배출량의 86.9%는 에너지분야, 7.8%는 산업공정분야, 2.9%는 농업분야로 에너지분야에서 주로 배출되었습니다. 에너지 분야의 2018년 배출량은 1990년에 비해 2.7% 증가하였는데 공공 전기·열 생산 부문에서 17.0백만톤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GDP 당 배출량은 2017년 대비 0.4% 감소한 402톤/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최저치이며 인구당 배출량은 2.0% 증가해 14.1 톤/명 수준입니다.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총배출량, 토지이용변경 부문에 따른 1990년, 200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낸 표입니다
    분야온실가스 배출량‘90년 대비
    증감률
    ‘17년 대비
    증감률
    ‘90년‘00년‘10년‘15년‘16년‘17년‘18년
    (비중)
    에너지 240.4 411.8 566.1 600.8 602.7 615.8 632.4
    (86.9%)
    163.1% 2.7%
    산업공정 20.4 51.3 54.7 54.4 52.8 56.0 57.0
    (7.8%)
    178.7% 1.9%
    농업 21.0 21.2 21.7 20.8 20.5 20.4 21.2
    (2.9%)
    1.0% 1.1%
    LULUCF -37.7 -58.3 -53.8 -42.4 -43.9 -41.6 -41.3
    (-5.7%)
    9.3% -0.5%
    폐기물 10.4 18.8 15.0 16.3 16.5 16.8 17.1
    (2.3%)
    64.7% -0.7%
    GDP당 총배출량
    (톤CO2eq./10억원)
    696.5 612.9 519.7 472.0 458.7 455.7 402 -37.6% -0.4%
    1인당 총배출량
    (톤CO2eq./명)
    6.8 10.7 13.3 13.6 13.5 13.8 14.1 107% -2.0%

    * 단위 : 백만tCO2eq, %
    *출처: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1990~2018) 요약(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LULUCF: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