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 ��� �� ����
�������������� �ַ� ����Ͽ����� ���� ���縦 ����ϱ⵵ ��
������Ʋ�� ����, ������ �׶���Ÿ �Ǵ� �븮���� ��ͷ� ������ ��ġ �� ����ȹ
�������� ��ũ�������� ������ ��ġ
���ǹ���ġ�� ������ �������⿡ ��ġ
��������� ���ɳ� �ô� ����  �Ž��̾��� �ް��п��� ����
������, ���ֶ�����, �Ż��, ���ֶ�����, �����ǵ����� ����
���������Ŀ� ���� ���з�
   �ܿ��ֽ� - ���ְ� �� ��
   �����ֽ� - ���ְ� �� ���̻�
   �����ֽ� - ������ ���鿡�� ���ְ� ��ġ
   ���Ŀ��ֽ� - ������ ���ĸ鿡 ���ְ� ��ġ
   ���ֽ� - ������ ���ľ��� ��� ��ο� ���ְ� ��ġ
   ���ֽ� -  ���ְ� �������� ��ġ�� ��������
���ܺΰ��� ������ҷμ� �ǹ��� ���¹̸� �߱�
���׸��̽� ������ �������ٴ� ���¸� �߽��� ������ ������ ����
���ܰ��� �����ϴ� �ֿ� �ð��� ��Ҵ� ���, ����, ��Ÿ������, �ڰ�
   - ���(stylobate)
   - ����(peristyle) ������ ����� �ֵ�, �ֽ�, ���ʷ� ������
   - ��Ÿ������(entablature) �ڴϽ�, ������, ��ŰƮ���̺��� ���κ����� ������
   - �ڰ�(pediment)
�������� �����̹Ƿ� ������ ������ �ֿ��
   - ���� : ���������� ������ �ֿ��
   - ���, ��Ÿ������ : �������� ���¿��
   - �ڰ� : �������� ������ �������μ� �缱���� ���¿��
   - �ֵ� : �������� ������ ���������� �ð����� ���濪���� ���ñ��� ���
���׸��̽� ���������� ���¹̸� �߿��. �Ϻ��ϰ� �̻����� ���������� ǥ���� ���� ���������� �����ϴ�
   ������� ���.
�����긲(Entasis)
   ������ ���༱�� ��� �߾Ӻΰ� ������ ���̴� ���������� �߻�
   ����� �߾Ӻΰ� ���þ� ���̴� ���� �����ϱ� ���� ����߾Ӻ��� ������ ��� ���Ϻ��� ���溸��
   �ణ ũ�� �ϴ� ���
��������(Rise)
   �� ������ ��� �߾Ӻΰ� ó�� ���̴� ���������� �߻�
   ���������� �����ϱ� ���� �ǹ��ܰ��� ������ ����� ��ܰ� ��Ÿ�������� �߾Ӻθ� �ణ��
   �ھ� ������ �ϴ� ���
���Ƚ�
   �ǹ��𼭸� ����� ����� �ణ�� �������� ������ ���� �ǹ��� �Ҿ����� ���̴� ���������� �߻�
   �ǹ��� �������� �ֱ� ���� ���� �𼭸� ����� �ణ�� �������� ����̴� ���
���������
   �ǹ��� ���鿡�� �� �� �ǹ���ü�� ������� �ϴ� �߾Ӻ��� ��յ鿡 ���� ����� ������� �ϴ�
   ���� �𼭸��� ��յ��� ���þ� ���̴� ���������� �߻�
   ���������� �����ϱ� ���� �𼭸� ����� ������ 3~5cm ���� ũ�� ��
����հ���
   �ǹ����鿡�� �� �� ����� ������ ���� �𼭸��� ������ �о�̴� ���������� �߻�
   ���������� �����ϱ� ���� �𼭸��� ������ ��հ����� ���� ��.
   �ĸ��׳� ������ ��� ��հ����� �߾Ӻδ� 2.4m, �𼭸��� 1.8m�� �ֿ���๰
���ĸ��׳� ����, ���׳�, B.C.447~432��
   �׸��̽��� ��ǥ���� �ǹ��μ� ���׳��� ��ũ���������� ��ġ
   �����ƽ� �ֹ��̿� ���ĸ� 8��, ���� 17���� ���ֽ� ����
   ���డ�� ��Ƽ������ ī��ũ���׽� �׸��� �������� �ǵ�ƽ��� ���� ����
   �丣�þƿ��� ���£�� ���׳׸� ������ ������ ó�ฦ ����ϱ� ���� ����
���������̿� ����, ���׳�, B.C.420~393��
   �̿��Ͼƽ��� ��ǥ���� �������� ���׳��� ��ũ�������� ��� �� �ĸ��׳� ���� ������ ��ġ
   ������� 3���� ������ ���ձ���ȭ �Ǿ����� �����Ը��� ���Ż��ְ� Ư��
�������̵� ����, �佺��, B.C.450��, �����ƽ�
���׼��̿� ����, ���׳�, B.C.428��, �����ƽ�
������̿� ����, �ø��Ǿ�, B.C.640��, �����ƽ�
���ø��ǿ��̿� ����, ���׳�, B.C.174��, �ڸ�Ʈ��

리스 건축 (Greek architecture)

 (남이탈리아, 그리스 및 서아시아, BC400년경)

1. 그리스 초기 건축

  • 지리적 상황 

    • 그리스는 깊이 굴곡 지고 바위투성이인 해안선으로 형성되는 만이 많음. → 반은 육지 반은 바다와도 같으며 산맥들에 의해 수많은 작은 부분들로 분할 

    • 지중해성 기후로 일년 내내 거의 날씨가 좋음 → 옥외공간 활용(포티코, 열주랑) 

    • 지중해를 이용한 무역과 상업의 발달로 경제력 확보 → 건축 발달의 기초가 됨

    • 풍부한 대리석 → 정교하고 세련된 미 → 파르테논 신전 

  • 종교적 상황

    • 신은 위엄있고 이상적인 인간상이나 인간의 약점을 가지고 있는 존재

    • 미는 신의 속성이므로 미를 추구하는 것은 종교적인 믿음이나 같은 것이라고 간주, 그리스의 미의 비결 → 균형, 비례 관계  

    • 인간을 중심으로 한 인본주의적 관념 : 인간척도를 적용한 건축 → 착시 교정, 비축선형 배치 

    • 신전에 안치된 조각상 → 자신들의 신을 표현하는 이상화된 인간상

  • 역사적 상황 

    • 페르시아 전쟁(BC497∼479)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아테네는 그리스 문화의 중요한 중심이 됨 → 고도의 건축문화

  • 사회적 상황

    • 민주의식 형성으로 자유와 질서의 조화 → 비축선형 배치


2. 건축의 특성


1) 신전 건축

  • 평면

    • 하나의 문과 하나의 방(셀라)으로 구성, 그 전면에 포티코(portico)자리

    • 인 안티스(전면까지 연장된 측벽사이에 두 개의 기둥이 자리), 프로스타일(전면에 열주가 위치), 암피프로스타일(전면과 후면에 열주가 위치), 페리스타일(셀라가 단일 혹은 2중의 열주로 둘러싸여 있음)로 신전 형태 발전.

    • 셀라를 둘러싼 열주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셀라는 상대적으로 발전되지 않음 로마인과 대조적으로 내부공간에 관심이 있었고 외부공간 요소로서 신전을 보았음. → 대조적으로 이집트 신전은 실내에서 祭典을 올리는 등 활용.


그림 1 그리스 신전 평면의 진화 (고대로부터 고전시대에 까지)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그림 2 (그리스 신전의 평면)

  • 형태

    •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가구식 구조

    • 착시 현상 교정

      • 엔타시스(Entasis) : 옆에서 볼 때 중앙부가 부풀어오르도록 만드는 것이며 기둥은 위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짐. → 중앙부가 가늘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 굵게 함.

      • 라이즈(Rise) : 아래쪽으로 쳐져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선(스타일로베이트, 엔타블레이춰)의 중앙부를 약간 위로 불룩하게 함.

      • 모서리 쪽의 기둥이 가늘어 보이는 것을 방지 : 약간 굵게(3∼5cm)

      • 기둥간격 : 건물의 안전감을 얻기 위해 모서리 부분의 기둥간격은 좁게.

      • 완벽한 비례미 : 루트 비례를 가본으로 함.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그림 3 (그리스 건축의 시각교정)


2) 오더(order) : 기단, 기둥, 엔타블레이춰의 조합.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 도릭 오더

    • 그리스 본토에서 사용된 그리스 최초 오더, 남성적, 강함표현 

    • 세 가지 오더 중 비례관계가 가장 굵으며 기둥 하부에는 基盤(Base)이 없이 주두와  주신으로 되어 있음. 

      • 기단 : 스테레오 베이트(stereobate)와 스타일로 베이트(stylobate)로 구성. 

      • 기둥 : 주초없이 스타일로 베이트 위에 섬.

        • 주신에는 날카로운 능선을 이루는 수직홈이 있음(플루팅)

        • 배흘림 양식, 상단부에 횡띠.

        • 주두는 방석 모양의 에키누스와 엔타블레이춰를 받치는 아비쿠스로 나뉨. 

      • 엔타블레이춰

    • 아키트레이브(architrave) : 상부하중 받거나 분산

    • 프리이즈(frieze) : 아키트레이브 위의 수평띠(트리글리프와 메토프로 나뉨)

      • 메토프부분의 조각장식은 도릭양식의 우아함 표현    

    •  코니스(cornice) : 두개의 경사 코니스와 함께 박공면 형성

  • 이오닉 오더

    • 에게해의 섬들과 소아시아에서 발달, 여성적, 섬세함, 부드러운 느낌

      • 단 사이에 홈이 있는 기단, 도릭보다 얕은 플루팅. 

      • 주두 : 소용돌이 형태의 나선형인 볼류트

      • 아키트레이브 : 2개의 수평홈에 의해 3부분의 띠벽으로 나뉨. 

  • 코린티안 오더

    • 세 가지 오더 양식중 가장 후에 발전된 것으로 익티누스가 창안.

    • 그리스 후기와 로마시대에 많이 쓰임. 

      • 이오닉 오더의 변형으로 실제상의 차이는 주두에만 있음.

      • 주두 : 아칸더스 잎 무늬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그림 4 (고전적 그리스 오더)

3. 그리스의 도시

  • 그리스의 도시는 경관이 좋은 곳이나 언덕을 지닌 산기슭에 자리잡았으며 도시는 언덕의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으로 나뉨. 

  • 언덕위 높은 부분 : 아크로폴리스라 하고 신전을 건설하였음  → 신성한 장소로 중요시 함. 

    • 입구에는 프로필레아라는 성문이 만들어지고 언덕위에는 신전들건설.

  • 언덕 아래 : 일반 시민이 거주하는 곳이며 이의 중심에 아고라(시민 광장으로 정치, 사회, 상업, 종교 및 행사를 위한 집회 시설)가 만들어짐.

    • 산기슭에는 극장이 운영되었고 이외에 무예 및 체육시설이 추가되었음

  • 극장 : 자연 지형을 이용(다이오니소스 극장 대표적)

  • 주택 : 생활이 주로 공공 장소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주택은 소규모였음.

    • 중정에 면해 있는 창과 문이 주요 채광원

  • 도시계획 : 격자 형식의 도로망, 히포다모스에 의해 원칙 확립.

    • 프리에네 시 : 에게 해 연안에 위치. 항구 근처의 취락은 별도로 높은 산기슭에 계획된 소도시 형성. 

      • 도시 중앙에 신전과 더불어 아고라를 두었으며 露天劇場과 경기장도 있음. 

      • 시가지는 바둑판형으로 정연한 가로를 만듦

    • 피라우스 건설 : 토질의 연구와 바람의 방향을 고려해 街路의 방향을 정하는 등 도시계획 방법이 매우 과학적.


도시중심부 배치도

그림 5 (프리에네 시, 소아시아, BC350년경)


4. 아크로 폴리스(Acropolis)의 주요 건축물 

  • 아크로 폴리스는 아테네의 것이 대표적이며 이것은 시가지의 한가운데 우뚝 서 있다. 

  • 석회암의 절벽으로 되어 있어 천연적 要塞임. 오직 경사가 덜 심한 서쪽에 유일한 진입로가 있음.

  • 전체 넓이 : 동서로 약 300m, 남북으로 약 120m.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그림 6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조감도(복원도))


▶ 프로필레아 (Propylaea of Athenian Acropolis BC437∼431년) - 네스크레스의 설계

 

  • 아크로폴리스의 입구 건물

  • 6개의 기둥의 중앙부분을 지나 2열의 의식행렬용의 이오닉 기둥들을 지나면 쉴 수 있는 전정이 있음.

  • 유일하게 직선축에 의한 접근

  • 외부의 도릭기둥과 내부의 이오닉 기둥은 다양한 특색들을 조합하려는 시도 표출

  • 지형 조건상 건물의 비대칭적인 배치


그림 7 (프로필레아, 엠네시클레스, BC437∼431년, 아크로폴리스, 아테네)


▶ 아테나 니케 신전 (Athena Nike BC427∼424)

  • 카리스테스가 날개없는 승리의 여신에게 바치기 위해 설계

  • 최초의 순전한 이오니아식 건물,프로필레아와 대조적으로 정교한 비례 → 건물의 상승 효과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그림 8 (아테나 니케 신전, 칼리크라테스, BC427∼424년)


▶ 에렉테이온 (Erechtheion BC421∼405) - 피로크레스에 의해 완성

 

  • 이오니아 양식의 대표적인 신전 

  • 특색있는 평면, 외관 → 대지조건(부정형)과 내부 신전의 수로 결정

  • 서쪽 단부가 연장되어 남북의 현관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계획되었을 것으로 추정.

  • 현관의 여상주(karyatides) - 파르테논의 도릭기둥과 대조


그림 9 (에렉테이온 엠네시클레스, BC421∼405년) 


▶ 파르테논(Parthenon, 익티노스와 칼리트라테스 ,BC448-432)

  • 크기 : 30.90×69.5m로 아크로 폴리스에서 건축된 가장 큰 건축물
  • 평면 

    • 정면 8주, 측면 17주로 종전의 정면 6주의 정형을 벗어난 것.   

    • 사면에 열주가 있는 페맆테랄 형식의 건물

    • 셀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좁은 쪽의 건물 폭은 건물길리의 절반이 약간 못 됨.

      • 셀라 큰쪽 : 아테나 파르테노스의 제사의식용 조상 위치

      • 작은쪽 : 보물 창고 역할 (이오닉 기둥, 외부 - 도릭기둥)

  • 착시교정을 위해 수평선은 그 중앙부를 약간 올렸으며 열주도 상부를 약간 안쪽으로 기울여 시각적인 안정감을 부여. 또한 모서리 기둥은 약간 굵게 하고 주신에는 인타시스 양식 사용.

  • 재료가 된 펜텔릭 대리석은 빛에 의해 다양한 색으로 반응(호박색, 장미색, 회색)

  • 언덕 위에 위치하여 아테네의 부와 힘을 명백하게 표시함.

  • 그리스인은 신상만을 신전에 안치하고 祭典은 신전 외부에서 거행하였으므로 평면계획의 기능화나 구조기술의 합리화보다는 조망되어지는 형태미에 치중한 형식미를 갖춘 건물.


고대 건축 특징 - godae geonchug teugjing

북서쪽에서 본 외관과 평면


그림 10 (파르테논, 익티노스와 칼리크라테스, BC488∼432년)

  • 에렉테이온과 파르테논의 대조

    • 에렉테이온 - 비대칭적, 종교 의식의 인간화, 서민적

    • 파르테논 - 대칭적 통일감.

  •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

    • 그리스 → 외부적 공간 중요시, 동향으로 건물배치, 가구식 구조, 사면으로 진입 가능 

    • 로마 → 내부 공간 중요시, 임의의 방향으로 건물 배치, 단일 재료로 구성, 정면으로 진입  

에트루리아 건축


1. 건축배경

  • 지리적상황

    • 로마왕정 당초에 로마에 3종족이 주거

    • 에트루리아인은 티베르강과 아르노강의 중간에 있는 에트루리아지방에 거주

  • 종교적상황

    • 에트루리아인은 티나, 커프라, 미네르바의 3종신을 예배

      • 티나 - 그리스의 제우스, 로마의 쥬피터에 상당하는 신

      • 커프라 - 그리스의 헤라, 로마의 쥬노, 

      • 미네르바 - 그리스의 아테나, 로마의 미네르바 

  • 사회적상황

    • 이들의 생활습관은 정열적이고 낙천적이었으며 강한 가족적 연대의식을 가짐.

    •  이들의 장례에 사용된 조각품이나 그림이 보여주듯이, 사후세계에 대한 이들의 믿음은 상당히 발전된 것임. 

2. 건축적 실제

▶  주택

  • 주택은 유골단지였으며 이것은 주택의 형태로 쓰이고 지붕 상부에 4각의 개구부가 있음
  • 이 개구부가 주택이 채광, 배기에 이용
  • 에트루스카의 주택은 중앙에 방형의 홀이 있고 그 주위에 제실이 배치

▶  

코로네토 분묘

  • 입구에서 암굴로 들어서면 에트루리아인 주택의 아트리움같은 형식의 전실이 되며, 사면 벽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음, 
  •  지붕은 중앙 채광창을 향하여 경사지게 서까래가 걸쳐진 형식의 지붕.
  • 분묘형식은 처음에는 횡혈식이었으나 후에 암굴식으로 됨.

▶  

에트루리아 신전

  • 지붕의 목부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테라코타를 사용.
  • 신전 평면은 대체로 정방형이며, 전반이 열주가 선 홀이 있고, 후반에는 앞에 3신의 신상을 안치하도록 내전이 3개 있음.

그림 11 (에트루리아 신전 복원도)


3.에트루리아 건축의 영향

  • 에트루리아 건축은 그리스 문화와 때를 같이 하여, 로마문화의 기반이 되었음.

  • 신전의 형식에도 영향을 미침. 

  • 로마의 종교가 그리스의 것과 같은 맥락을 지녔으나 그리스 신전 형식이 아닌 에트루스카 형식을 따랐음.

  • 내진의 3실형과 주열의 형식 등은 그리스의 형식과는 다름. 특히 아치, 볼트 및 도움을 로마건축에 전수함.

자료출처 : 『서양건축사』 Winand Klassen(심우갑,조희철 옮김):대우출판사, 윤장섭:동명사, 정인국:문운당

『인터넷』www.youtube.com(동영상), www.google.com ('수정 후 비상업적 용도로 재사용 가능'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