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시 교통 빅 데이터 - sejong si gyotong big deiteo

우)30128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328 도시통합정보센터(나성동 725) <개인정보처리방침>

대표전화 | 044-120(배차/노선 문의), 044-850-0125, 044-867-7166(분실물/버스운행 문의),
044-300-7934, 044-300-7937(교통정보시스템 문의)

Copyright ⓒ 2016 세종특별자치시. All Rights Reserved.

  • 교통정보
  • 버스정보
  • 주차정보
  • 빅데이터
  • 커뮤니티
  • 센터소개

    교통정보

  • 소통정보

    버스정보

  • 실시간노선검색
  • 정류장검색
  • 경로검색

    커뮤니티

  • 공지사항
  • 참여마당
  • 분실물안내

    센터소개

  • 시스템소개
  • 사이트이용안내
  • 모바일 이용안내
  • 찾아오시는길
  • 웹접근성품질인증

    • 실시간
      노선검색
    • 정류장
      검색
    • 경로검색

    • 공지사항

      + 더보기
    • [2022/07/21]

      노선시간표 안내

    • [2022/08/24]

      노선 신설 알림 [B4번]

    • [2022/07/20]

      202, 204, 222, 1000번 노선 운행시간 변경 알림

    • 돌발정보

      + 더보기
    • 현재 진행중인 돌발 및 통제정보가 없습니다.

    • 사이트
      이용안내

    • 세종시
      공공자전거

    • 세종
      도시교통공사

    빅데이터로 보는 [세종권역 교통흐름 시범서비스] 실시

    • 담당자박동숙
    • 담당부서지역통계과
    • 전화번호042-716-1051
    • 게시일2017-08-30
    • 조회12393

    충청지방통계청(청장 진찬우)은 세종시와 지난 3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세종시 교통정책 지원을 위해 빅데이터로 보는 [세종권역 교통흐름 서비스]를 개발하여 8.30(수)부터 시범 서비스를 실시한다.

    - [세종권역 교통흐름 서비스]는 세종시에서 제공하는 교통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세종시와 인접지역간의 교통량 자료와 세종-대전간 간선급행버스체게(BRT) 승하차 자료를 분석하고 지도상에서 시각화된 자료로 볼 수 있도록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플러스)로 제공한다.

    * 이번 서비스는 세종시와 인근지역간 유입-유출되는 교통량을 출퇴근 시간대별, 요일별, 주중`주말 통계정보를 지도상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통계지도 컨텐츠로 제공한다.

    [이하 자세한 내용은 첨부화일 확인해주세요]

    세종TP, LG유플러스, 한국교통연구원 자율주행 빅데이터 공유한다
    작년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후 LG유플러스와 협력 확대

    (재)세종테크노파크 (원장 김현태, 이하 세종TP)는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 한국교통연구원(원장 오재학)과 함께 모빌리티 기술 고도화와 신규 서비스 창출을 위한 “모빌리티 빅데이터 얼라이언스 in 세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를 운영 중인 세종TP는 자율주행 차량 관제, 차량·사물 간 통신(V2X) 연계 등 자율주행 관련 각종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세종TP는 LG유플러스, 한국교통연구원과 자율주행 데이터를 포함하여 모빌리티 데이터를 공유할 계획이다.

    ※ 모빌리티 데이터(Mobility Data) : 사람과 재화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여러 데이터를 통칭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은 지난해 세종TP가 발주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사업자로 선정되어 관제센터를 구축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최대 9PB(페타바이트)에 달하는 자율주행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분석하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한국교통연구원은 차량 GPS·대중교통카드 등 모빌리티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LG유플러스와 자율주행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공유될 모빌리티 데이터는 특히 유동 인구와 교통수요 데이터를 분석해 차량, 버스, 공유자전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 응답형(Mobility on Demand)'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계획이다. 빅데이터로 도시 내 실제 통행패턴을 알아내고 대중교통 환승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로, 세종TP는 유플러스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확보한 세종시 내 유동 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현태 세종TP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세종시에 자율주행 기반 신규 서비스 창출을 위한 연구 협력체계가 마련되었다. 세종TP는 LG유플러스,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세종시의 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세종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세종테크노파크,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모빌리티 기술 고도화와 신규 서비스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을 수행하며 최대 9PB(페타바이트)에 달하는 자율주행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분석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를 운영하는 세종테크노파크는 세종시의 산업고도화와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설립된 지역혁신성장 거점기관이다.

    (왼쪽부터)전경혜 LG유플러스 데이터사업추진담당, 김선경 세종테크노파크 미래융합산업센터장, 김주영 한국교통연구원 교통빅데이터연구본부장이 13일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에서 열린 협약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또한 LG유플러스는 한국교통연구원과 자율주행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차량 GPS·대중교통카드 등 모빌리티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교통 싱크탱크다.

    업무협약을 통해 LG유플러스와 세종테크노파크, 한국교통연구원은 사람과 재화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데이터를 통칭하는 '모빌리티 데이터'를 공유할 계획이다. 

    특히 유동인구와 교통수요 데이터를 분석해 차량, 버스, 공유자전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 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빅데이터로 도시 내 실제 통행패턴을 알아내고 대중교통 환승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LGU+, 세종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완공2021.11.25
    • LGU+, 교통연구원과 자율주행 모빌리티 실증 MOU2021.10.28
    • LGU+, 에이스랩과 자율주행차 이상탐지 기술 개발 추진2022.02.21
    • LGU+, 6G 안테나 기술 'RIS' 검증 돌입2022.03.15

    이와 함께 LG유플러스는 이동통신 서비스로 확보한 세종시 내 유동인구 데이터를 세종테크노파크와 함께 세종시 소재 중앙 정부부처·이전 공공기관이 정책 의사결정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경혜 LG유플러스 데이터사업추진담당은 "세종테크노파크,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자율주행, 모빌리티 데이터의 리더십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모빌리티 산업 부흥과 신사업 발굴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